
총 5개
-
고려인2024.08.281. 고려인, 그들은 누구인가 1.1. 고려인의 정의와 역사 고려인은 일제 강점기 당시 한반도를 떠나 소련이라는 나라의 연해주 지역 쪽에 이동을 가면서 그 쪽 부근에 살던 사람과 그의 자손들을 의미하기도 하며, 중앙아시아 강제이동 이후 중앙아시아 혹은 소련 붕괴 후 구소련 나라에 살고 있는 우리 동포들을 '고려인'이라 지칭한다. 사실 고려인이란 단어의 역사는 상당히 짧은 편이다. 분단 이전까지는 해외에 이동을 간 우리 동포들을 '조선인' 이라는 표현을 많이 통용하였지만, 분단이후 남한과 북한에서 받아들이는 '조선인'이란 단어의 의...2024.08.28
-
우즈베키스탄 다문화2025.04.011. 우즈베키스탄 개요 1.1. 국가 기본 정보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국가이다. 수도는 타슈켄트이며 면적은 447,400km²로 한반도의 약 2배 크기이다. 인구는 2,947만 명(2017년 기준)으로 주요 민족은 우즈벡인(80%), 러시아인(5.5%), 타지크인(5%), 카자흐인(3%), 카라칼팍인(2.5%), 고려인(0.9%)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다. 공용어는 우즈베키스탄어와 러시아어이며, 독립국가연합(CIS) 국가로 1992년 1월 29일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다. 1.2. 역사적 배경 우즈베키스탄의 역...2025.04.01
-
고려인2025.04.131. 서론 1.1. 고려인, 그들은 누구인가 고려인은 일제 강점기 당시 한반도를 떠나 소련이라는 나라의 연해주 지역 쪽에 이동을 가면서 그 쪽 부근에 살던 사람과 그의 자손들을 의미한다. 또한 중앙아시아 강제이동 이후 중앙아시아 혹은 소련 붕괴 후 구소련 나라에 살고 있는 우리 동포들을 '고려인'이라 지칭한다. 고려인이란 단어의 역사는 상당히 짧은 편으로, 분단 이전까지는 해외에 이동을 간 우리 동포들을 '조선인'이라는 표현을 많이 통용하였지만, 분단 이후 남한과 북한에서 받아들이는 '조선인'이란 단어의 의미가 상당히 달랐다. 1...2025.04.13
-
우즈베키스탄 의료2025.04.071. 우즈베키스탄의 일반현황 1.1. 우즈베키스탄의 교민 현황 수도인 타슈켄트 시를 중심으로 약 1,650여 명의 교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자영업자와 선교사, 상사원, 유학생, 비정부기구(NGO) 인사 등이 주류를 이룬다. 자영업자가 700여 명에 달하며, 회사원 200여 명, 전문직 500여 명, 유학생 250여 명 등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한국 내에 체류 중인 우즈베크인은 21,555명(불법체류자 8,326명 포함)이다. 우즈베키스탄에는 200여 개의 한국 대기업 및 중소기업이 진출하여 활동 중이며, 아시아문화개발기구(IAC...2025.04.07
-
표적문제2025.05.151. 서론 안산의 공단 중심 지역사회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주민들이 함께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안산시와 중앙정부의 다양한 정책과 지원 속에서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언어적 차이, 문화적 차이, 법적 지위 등으로 인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고려인이나 중국동포와 같은 특정 국적의 외국인들은 체류 자격이나 보육지원, 의료보험 등의 영역에서 차별과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이는 이들이 지역사회에 온전히 정착하지 못하고 소외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안산시는 외국인 주민의...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