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간호사정 중간2024.10.131. 신체건강사정 1.1. 복부의 건강사정 1.1.1. 복부의 구조와 기능 복부는 배꼽을 중심으로 교차하는 선을 세워 우상복부, 우하복부, 좌상복부, 좌하복부로 나뉜다. 간은 오른쪽 상복부 부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위는 횡경막 아래, 간과 비장 사이에 위치한다. 담낭은 간의 후면 아래, 우측 중앙 쇄골선의 바로 옆에 위치한다. 소장은 위의 유문판에서 우측 하복부의 회맹판까지 복부의 모든 사분면에 위치한다" 1.1.2. 건강력과 이론적 근거 복부의 건강력과 이론적 근거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식욕부진이나 구토, 구역은 소...2024.10.13
-
THR2024.11.121. 고관절 골절 1.1. 정의 및 분류 고관절 골절은 골다공증의 빈도가 높은 노년기에 주로 발생하고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로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고관절 골절은 관절 낭 내 골절인 대퇴 두부 골절과 대퇴 경부 골절, 관절강 외 골절인 전자간 골절과 전자하 골절로 분류된다. 특히 대퇴 골두의 혈류는 대퇴경을 통해 공급받는데 관절강 내 골절이 있게 되면 혈액 순환 장애로 대퇴골두에 무혈관성 괴사가 발생하고 불유합된다. 반면 관절강 외 전자 간 골절은 혈액 공급이 원활하여 치유가 잘된다. 1.2. 원인과 위험요인 고관절 골...2024.11.12
-
폐쇄성 대퇴경부골절2024.11.24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골절 환자는 정형외과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OS병동의 경우 주로 노인의 사례로 접하게 된다. 이전에 접한 대퇴골 골절 환자들의 경우 대부분 전위 골절이었고, 수술명으로는 ORIF(개방적 정복술 및 내부 고정술)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번 사례대상자의 경우 수술명이 THA(전고관절 치환술)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두 수술의 차이점과 이를 병행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하여 이 환자를 사례로 선정하게 되었다. 1.2. 질병에 대한 통계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2년...2024.11.24
-
대퇴전자간골절2024.11.071. 대퇴골 절자간 골절 1.1. 정의와 분류 대퇴골의 대전자와 소전자를 연결하는 선에서 내측으로 골절선이 들어가는 것을 대퇴 전자간골절(intertrochanteric fracture)이라 하며, 이 선을 교차하고, 대전자, 소전자가 분단하는 것과 같은 골절일때에는 전자관통골절(pertrochanteric fracture)이라 한다. 이 부위는 혈행이 풍부하여 불유합은 많지 않아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하여도 유합되지만, 대퇴 골두의 외반 변형과 하지의 외회전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조기에 견고한 금속 내 고정을 시행하여 조기 운...2024.11.07
-
대퇴전자간골절 간호진단2024.11.071. 서론 1.1. 대퇴골의 구조 대퇴골(Femur)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대퇴골은 인체에서 전체 키의 약 1/4 정도를 담당할 정도로 가장 크고 긴뼈이다. 상단은 골반과 고관절에 의해, 하단은 경골과 무릎관절에 의해 연결된다. 성인의 대퇴골은 안에 해면골이 거의 없는 단단한 겉질뼈로 구성되어 있다. 대퇴골의 상단에는 크게 4가지 주요 부위가 있다. 첫째, 넙다리뼈머리(femoral head)는 둥근 공 모양으로 골반과 만나 엉덩관절을 이룬다. 둘째, 넙다리뼈목(femoral neck)은 넙다리뼈머리의 바로 아래 부위...2024.11.07
-
고관절 골절2024.11.211. 고관절 골절 1.1. 정의 고관절은 허벅지뼈(대퇴골)의 윗부분이며, 허벅지뼈의 끝에 구가 있어 이 구가 골반뼈 바닥의 소켓 안으로 들어가 고관절을 형성한다. 고관절 골절은 이 위쪽 허벅지뼈의 골절을 의미하며, 뼈 끝 부분의 구 부위 골절이거나 구 바로 아래의 골절일 수 있다. 모든 부러진 뼈는 골절로 간주된다. 1.2. 원인 대부분의 노인들은 신체의 유연성 및 균형 감각이 떨어지고 뼈가 약하기 때문에 가벼운 낙상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지거나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고관절 골절을 당하는 경우가...2024.11.21
-
플라스틱 오마하 간호진단2024.11.2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고관절 골절은 50대 이상 여성에서 흔히 발생하며,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사망률은 1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골밀도가 감소하고 골밀도가 감소할수록 골절은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고관절 골절은 노인 인구에서 심각한 질병 부담을 야기하며, 골다공증 유병률의 주요 표지자 이자 국내 노인 인구에서 10대 주요 사망의 원인이다. 이러한 노인 고관절 골절에 의한 사망률 저하를 위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2. 대상자 사...2024.11.21
-
Femur neck2025.03.051. 서론 대퇴골 경부 골절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인 대퇴(고관절) 부위의 골절로, 서고 걷는 등의 기본적인 활동을 어렵게 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신체 유연성 및 균형 감각이 떨어지고 뼈가 약하기 때문에 가벼운 낙상에도 쉽게 뼈가 부러질 수 있다. 50세 이상 성인 남녀의 고관절 골절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급격한 도시화와 생활습관 변화, 운동량 감소로 인한 비타민 D 생성 부족으로 뼈의 강도가 약해졌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의 간호문제를 발견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하...2025.03.05
-
퇴행성관절염 오마하 간호과정2024.09.051. 간호사정 1.1. 일반적 사항 대상자 주**은 66세 여성으로, 영보자애원에 입소하게 된 배경은 공장에서 일하다 강제 입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자는 19XX년 X월부터 영보자애원에 입소해 생활하고 있다.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이름은 주**이며, 연령은 66세이다. 가족구성은 형제이며, 영보자애원에 입소하게 된 배경은 공장에서 일하다 강제 입소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1.2. 건강관련 사항 1.2.1. 과거 건강력 '1.2.1. 과거 건강력'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 주...2024.09.05
-
고관절질환간호2024.10.221. 고관절 관련 질환 및 수술 1.1. 고관절의 해부생리 인체의 관절 중 어깨관절에 이어 두 번째로 운동 범위가 크며 무릎관절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관절인 고관절은, 공처럼 생긴 대퇴골두(femoral head)와 이를 감싸고 있는 소켓 모양의 골반구의 비구(acetabulum)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골과 소켓의 표면은 매우 부드러운 연골로 다시 덮여 있고 이 연골은 스펀지처럼 작용하여 관절에 부하되는 압력 또는 체중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관절은 주로 체중 부하와 체중 전달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관절의 운동범위보다는 관절...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