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고대근동문화와 구약의 배경2024.09.231. 고대 근동의 역사와 종교 1.1. 구약성경의 배경: 고대근동의 세계 1.1.1. 고대근동의 지리적 경계 '고대근동'(Near East)은 지중해의 동쪽 해안에 위치한 오토만 제국의 잔여 영토를 지칭하기 위해 19세기에 사용됐으나 오늘날은 중동(Middle East)이라는 말을 더 잘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두 용어와 지리적 경계도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중동의 고대 역사가들과 고고학자들은 근동이라는 말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고대근동학(Ancient Near Eastern Studies; ANES; AO)은 고대 이...2024.09.23
-
은허 유적2024.11.181. 중국 청동기의 신비 1.1. 청동기의 기원 동은 인류가 최초로 인식하고 이용한 금속의 일종이다. 원시 인류가 도구를 만들기 위해 재료를 찾다가 천연 동을 발견했을 가능성이 높다. 천연 동의 특징은 다른 광석보다 연성이 좋아서 원하는 모양을 쉽게 만들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기물로 주조할 수 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야금술의 탄생을 의미한다. 이 순동은 붉은 빛을 띠어서 홍동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너무 유연해서 다루기가 어려웠다. 홍동을 주조하면서 사람들은 동에 일정한 비율의 주석이 들어가면 경도가 높아지고...2024.11.18
-
대학탐방보고서2024.11.301.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탐방 1.1. 박물관의 개요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은 1967년 김양선 교수에 의해 기증받아 1976년에 정식으로 출범한 역사가 깊은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은 한국 기독교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고대 경교, 천주교, 개신교 등 한국 기독교 역사의 맥락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박물관은 총 3층 규모로 이루어져 있는데, 1층에는 한국 기독교의 역사와 발전 과정이, 2층에는 숭실대학교의 역사와 근대 민족운동이, 3층에는 한국의 고고학적 발견물과 미술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1층...2024.11.30
-
가야문화와 토기 및 김수로왕 탐방기2024.10.141. 가야 문화의 특징 1.1. 가야의 역사 가야는 서기 300년 무렵에 변한을 기반으로 하여 성립한 여러 세력집단으로, 가야, 가라, 가락, 임나 등으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가야의 영역은 일정하지는 않으나 대체로 동으로는 황산강(낙동강 하류), 서남으로는 남해안, 서북으로는 지리산, 동북으로는 가야산의 남쪽을 경계로 하였다. "가야"라는 이름은 변한 때에 김해지역을 가리키던 구야국에서 유래하여 이 지역의 모든 세력을 일컫는 의미로 확대되었다. 가야는 때에 따라 5가야, 6가야, 7가야국, 포상(浦上)8국, 임나(任那)10국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