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신생아일과성빈호흡2024.09.211. 서론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서 발생 원인은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는 폐액의 흡수지연 때문에 생기고 큰 합병증 없이 회복이 잘되는 질병이다. 그러나 72시간 이상 빈 호흡이 지속되기도 하며 심각한 저산소증과 호흡부전, 기흉 등의 합병증이나 사망까지 이르기도 한다. 회복이 빠르고 잘 되지만 미숙아보다 만삭아에게서 주로 생긴다는 점이고, 치료경과는 좋지만 발생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이 질병을 case로 잡게 되었다. 2.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2024.09.21
-
RDS2024.10.301.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1.1. 정의 및 원인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폐표면활성제의 생성 또는 분비의 부족에 의해 가스 교환의 역할을 담당하는 폐포가 펴지지 않아(무기폐증) 호흡 곤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은 조기 출산된 남성과 여성의 신생아들에게 동일한 비율로 발생한다.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출생 시 체중이 작을수록 발생...2024.10.30
-
NICU 아동간호 RDS 간호진단 케이스2025.02.051. 서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미숙아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미숙아는 전신적으로 각 장기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 발달도 미숙한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폐에서 폐 표면활성제라는 물질이 부족하여 폐 확장이 어려워지면서 호흡곤란이 발생하게 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영아사망의 주요 원인은 신생아 호흡곤란으로 전체 영아사망의 17.1%를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 세분화된 간호 제공이 필요하다. 하지만 신생아 집중치료실 운영의 어려움으로 인해 200...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