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해질 불균형
1.1.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알칼리증
호흡성 산증은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해 탄산이 과잉된 상태이다. 이는 호흡근의 마비에 따른 환기 저하, 폐기종이나 마취제 등 연수의 호흡중추가 억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호흡성 산증은 혈액완충제로 수 초 이내에 교정 가능하고, 수 시간 내에 신장은 수소이온을 배출하여 보상된다. 또한 암모니아 이온(NH4)의 형성과 배출, 중탄산 이온(HCO3-)의 보유와 염소(Cl-)의 배출로 보상된다.
호흡성 알칼리증은 탄산의 과다한 소실이 있을 때 발생하며, ...
202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