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칸트 사상2024.10.251. 임마누엘 칸트의 생애와 철학적 사상 1.1. 엠마누엘 칸트의 생애 1.1.1. 출생과 성장 엠마누엘 칸트는 1724년 4월 22일 프로이센 왕국의 쾨니히스베르크에서 마구 장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원래 이름은 엠마누엘(Emanuel)이었지만 스스로 히브리어를 배운 뒤 하나님이 함께 하신다는 뜻의 임마누엘(Immanuel)로 개명했다. 그는 독실한 경건주의 기독교였던 어머니의 영향을 받으며 자라왔고 이는 훗날 그가 삶을 살아가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1.1.2. 대학과 교수 생활 칸트는 16살이 되던 해인 1740년 ...2024.10.25
-
존 웨슬이의설교2024.10.031. 존 웨슬리 이해하기 1.1. 청교도와 영국 국교회의 영향 엘리자베스 1세(1533-1603)가 통치하던 시절, 협상을 통해 통일령과 공동 기도서에 이의를 제기하며 열정과 원칙에 충실하자는 운동이 영국 국교회 안에 일어났다. 당시 토마스 카트라이트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은 영국 국교회의 교리와 정책에서 로마 가톨릭 유산을 청산하고자 하였고, 이들은 이후 청교도라 불리게 되었다. 청교도들은 영국 국교회 안에서 필요한 개혁을 이루고자 하였다. 1715년 존 웨슬리가 아직 소년에 불과했을 때 비국교도의 수는 500만이 넘는 영국의 전...2024.10.03
-
기독교교육의 역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한국교회 기독교 교육의 현실에 대한 본인의 의견2025.01.231. 서론 인류 역사에서 기독교 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기독교 교육은 그 뿌리를 성서에서 찾을 수 있으며,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그중에서도 특히 경건주의 운동은 기독교 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경건주의는 종교개혁 이후 루터교회와 개혁교회에서 일어난 신앙 갱신 운동으로, 삶의 중심을 경건에 두고자 하였다. 이 운동은 기독교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본고에서는 기독교교육의 역사에서 경건주의가 차지하는 의미와 기여를 살펴보고, 현대 한국교회의 기독교 교육 현실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제시하고자 ...2025.01.23
-
한국침례교 사상사,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 구원2025.03.101. 한국침례교 사상사 1.1. 말콤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 말콤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은 다음과 같다. 펜윅은 1863년 캐나다 토론토 근처 마크햄에서 출생하였다. 회심 후 나이아가라 사경회에서 외국선교에 대한 소명을 받았다. 1893-1895년 캐나다로 갔다가 1896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선교활동을 하였다. 1906년 10월 6일 대한기독교회를 발족하고 1906-1914년 최고직위인 감목을 역임하였으며 1935년 12월 6일 별세하였다. 펜윅의 어머니와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은 펜윅의 신앙생활과 신학 형성에 큰...2025.03.10
-
제4선교신학2025.03.141. 제4선교신학 1.1. 저자 소개: 말콤 펜윅 말콤 펜윙은 1863년 캐나다 토론토의 마크햄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나이아가라 사경회에서 외국선교에 대한 소명을 받고 독립선교사로 한국 함경도 원산에 정착하여 선교활동을 하였다. 1893-1895년 캐나다로 갔다가 1896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고, 1906년 10월 6일 대한기독교회를 발족하여 1906-1914년 감목으로 활동하였다. 펜윅은 1935년 12월 6일에 별세하였다. 펜윅의 신학 형성에는 그의 어머니의 그리스도 중심적인 경건과 나이아가라 사경회, 그리고 아도니람 저드...2025.03.14
-
교회론의 변천사2024.10.141. 근대교회사의 배경 1.1. 종교개혁 이후 유럽의 변혁 종교개혁 이후 유럽의 변혁은 다음과 같다. 1555년 아우그스부르그 종교화의에 따라 독일 내 루터란 프로테스탄트들이 종교의 자유를 처음으로 허용받았다. 이후 약 1세기 동안 유럽은 격렬한 종교 분쟁에 휩싸였다. 1648년에 체결된 웨스트팔리아 평화조약을 계기로 30년 전쟁이 종식되었고, 프로테스탄트와 가톨릭교가 공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유럽은 근대 국가 체제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종교개혁은 단순히 교리상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정치, 경제, 사...2024.10.14
-
18세기 미국 침례교회의 종교의 자유를 위한 투쟁2025.06.101. 18세기 미국 침례교회의 종교의 자유를 위한 투쟁 1.1. 침례교인들의 종교의 자유 운동 침례교인들은 종교의 자유를 위해 헌신적으로 싸워왔다. 그들은 초창기부터 '선교를 향한 열정'과 '종교의 자유를 위한 열망'이라는 두 가지 황금 줄을 가지고 있었다. 토마스 헬위즈가 이끌던 일단의 추종자들이 암스테르담에서 영국으로 돌아왔을 때, 그들이 전하고자 한 신앙의 핵심은 네덜란드에서 새롭게 발견한 종교의 자유 개념이었다. 헬위즈는 '불법의 신비'라는 글을 통해 종교의 자유에 관한 기본적인 원리를 제시하였다. 또한 침례교인들은 영국에...2025.06.10
-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2025.06.211. 서론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 대한 논의는 근대 사회과학에서 가장 주목받는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저술은 원래 논문의 형태로 발표되었으나 이후 베버 저작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았으며, 자본주의 발생과 발전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중요한 고전이 되고 있다. 베버는 근대 사회를 가능케 한 여러 요인들의 기원을 탐구하면서 특히 서구 문명의 독특한 합리화 양상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합리화의 근저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 프로테스탄트 윤리라는 점에 착안하여, 저자는 프로테스탄트의 금욕주의적 신앙과 자본주의 정신의 특...2025.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