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바위에뿌리내린소나무2024.10.161. 서론 1.1. 조선 후기 미술사 조선 후기의 미술은 15세기 중엽 세종연간(1419~1450)을 전후하여 꽃피웠던 초기의 문예에 비길 만한 훌륭한 업적을 이룩했던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초기를 민족문화와 미술의 성숙기라고 본다면, 후기는 부흥기라고 보아야 마땅할 것이다. 후기에는 실학이 영조와 정조를 거쳐 순조기에 이르는 동안 극성하게 되었던 것으로, 이는 비단 정치나 사회면에서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 전반에 걸쳐 중대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 시대의 회화상의 새로운 큰 조류는 첫째 중기 이래 유행하여...2024.10.16
-
행주산성 역사적 답사2024.10.201. 우리동네 답사와 새로운 발견 1.1. 화곡 4동의 역사와 유적지 화곡 4동은 서울시 양천구와 강서구의 경계에 위치한 동네로, 이곳에는 겸재 정선과 구암 허준 선생의 발자취가 남아있다. 이 일대는 원래 장터가 있었던 자리였으며, 누각도 있었던 곳이라고 한다. 특히 소악루에서는 겸재 정선이 한강변의 경치를 감상하며 그림을 그렸다고 전해진다. 또한 이 동네에는 백제 문화와 관련된 유적지도 있다. 화곡 4동은 옛 양천고을의 진산이었던 궁산 근처에 위치해 있는데, 이 궁산에는 한강을 지켰던 봉수대와 누정들이 있었다. 특히 소악루는...2024.10.20
-
바위에 뿌리내린 소나무2024.11.031. 개요 1.1. 조선 후기 미술사 조선 후기 미술사는 약 1700년에서 1850년까지 한국의 문화와 미술사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였다. 조선 초기를 민족문화와 미술의 성숙기라고 본다면, 조선 후기는 부흥기라고 볼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기존의 부당한 사회적 여건이나 정치제도의 개혁을 꾀하고 신분제도의 개선을 주장하며 실증적 태도를 취했던 실학이 발달했다. 이는 정치와 사회뿐만 아니라 한국문화 전반에 걸쳐 큰 의의를 지녔다. 회화 분야에서는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는데, 첫째 중기 이래 유행했던 절파의 화풍이 쇠퇴하고 대신 남...2024.11.03
-
간송 미술관, 전형필 영향 서술2024.11.271. 간송 전형필과 그의 문화재 수집 1.1. 간송 전형필의 생애와 성장 간송 전형필은 1906년 7월 2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증조부 때부터 종로 일대의 상권을 장악한 10만 석 부호가의 집안이었다. 전형필의 집안은 99칸으로 100칸부터는 왕가의 영역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민간에서는 최고의 부자 집안 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전형필은 작은 아버지에게 입양되어 자랐지만 양육은 친부모가 맡았다고 한다. 어린 시절 전형필은 한학과 신학문을 공부하며 세상에 대한 견문을 넓혀갔다. 1921년 어의동 보통학교를 졸업...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