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Colostomy2024.10.041. 소화기관의 구조 1.1. 소화관 소화관은 입에서 항문까지 연결된 긴 관으로 몸에 수분 및 영양물질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입을 통해 섭취된 음식물은 식도, 위를 거쳐 소장으로 보내진다. 소장은 가늘지만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며 대부분의 소화가 이 곳에서 이루어진다. 소장을 지난 음식물은 대장으로 이동하며 대장은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상 결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장에서 음식물이 통과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대변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소장에 이어서 항문에 이르는 소화관의 마지막 ...2024.10.04
-
흑색종 간호교육2024.09.251. 서론 2018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최근 악성 흑색종의 신환자 발생 건수가 1992년 121명, 2002년 266명, 2012년 520명(인구 10만 명당 1명 환자 발생)으로 20년 만에 4.3배의 증가를 보이며 2015년 570명의 신환자가 발생하였으며 흑색종의 호발연령인 국내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증가하리라 예상되고 있다. 흑색종의 호발연령이 60세 이상의 고령인 점을 감안할 때 1990년 한국에서 60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7.65%, 2000년 11.22%이다가 2010년 15...2024.09.25
-
장루와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2024.10.181. 결장루 관리 1.1. 결장루 주변 피부문제 나장루님의 결장루 주변 피부문제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장루 주변 피부에서 발적이 심하게 관찰되었으며, 압통을 동반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장루주변은 액체의 분변으로 오염되어 있었고, 장루주변 피부상태는 redness color와 pus가 관찰되었다. 장루구멍과 제품의 사이즈가 맞지 않아 장루주변으로 분변이 새어 나오고 있는 상태가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장루를 통해 배액되는 양상은 watery+loose stool, 생선 썩는 냄새, yellow+brown colo...2024.10.18
-
colostomy2024.11.241. 간호과정 1.1. 간호사정 1.1.1. 일반적 특성 나장루님은 74세의 여성으로, 3개월 전 ascending colon cancer를 진단받고 부분 상행결장절제술을 시행하고 상행결장루술을 시행한 후 퇴원한 상태이다. 입원 당시 최근 2주일 간 결장루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변에서 냄새가 심하며 가스가 많이 생기고 분변량이 늘어났다고 하였으며, 결장루가 자주 새어나와 사회생활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심한 우울감을 표현하였다. 또한 장루로 인하여 삶을 더 이상 살고 싶지 않다고 호소하였다. 나장루님은 3개월 전 ascending c...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