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강주2024.09.101. 신라의 지방통치체제 정비 1.1. 영일냉수리신라비와 지증왕 「영일냉수리신라비」에는 "?須, 道使"라는 내용이 나와있다. 이 중 탐수는 지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이어서 나오는 도사(道使)는 지방관의 명칭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영일냉수리신라비」를 통해 촌주와 도사 등의 지방관직명이 확인되어 신라의 지방 통치 조직을 엿볼 수 있다. 신라는 503년 지증마립간(王) 때 공식적으로 왕호를 칭하게 되었고, 505년에는 지방 행정구역을 정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계적인 행정체계를 갖추게 되었으며, 왕경에서 파견된 지방관이 지...2024.09.10
-
견훤과 후백제 외교, 후삼국시대2024.11.101. 후백제 견훤의 대일본 외교 1.1. 들어가며 신라 780년 혜공왕이 살해된 후 정치적으로 쇠퇴기인 하대가 시작된다. 지방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약화되자 전국 각지에서 세력이 일어났다. 후백제를 세운 견훤 역시 신라 말 혼란기 지배권을 쟁탈하려는 세력 중 하나였다. 그는 여러 성을 공략하고 무진주를 점령한 후 스스로 왕위에 올랐으며, 900년에는 완산주를 수도로 정하였고,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특히, 견훤은 비교적 빠르게 후백제를 건국하여 후삼국을 주도하였다. 견훤이 빠른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2024.11.10
-
논산2024.11.241. 논산 지역 문화유산 1.1. 강경 미내다리와 논산 원목다리 강경 미내다리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된 돌다리이다. 길이 30m, 너비 2.8m, 높이 4.5m의 크기로, 3개의 홍예(무지개 모양)로 이루어져 있다. 이 다리가 놓여 있는 하천을 미하(渼河)라고 부른 데서 다리 이름을 미내다리[渼奈橋]라고 하였다. 1731년(영조 7년)에 강경촌에 살던 석설산 송만운 등이 주도하여 황산의 유승업, 설우, 청원 등과 함께 공사를 시작하여 1년도 채 되지 않아 완성하였다. 이 다리는 전라도와 충청도를 잇는 중요한 교통로였...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