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어깨 해부학2024.10.091. 어깨 회전근개 1.1. 어깨 회전근개의 해부학 1.1.1. 극상근 (Supraspinatus) 극상근(Supraspinatus)은 견갑골의 극상와에서부터 상완골의 윗부분인 대결절과 어깨의 관절낭까지 이어져 있는 근육이다. 어깨관절의 외전 초기에서부터 삼각근의 외전 후기까지의 기능을 한다. 신경은 상완신경총의 상완으로부터 제 4, 5, 6경 신경으로 이어지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동작을 하거나 상해를 입게 되면 어깨 관절의 탈구가 일어나게 된다. 즉, 극상근은 어깨관절의 외전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해 시 어깨관절...2024.10.09
-
회전근개파열 간호과정 보고서2024.11.231. 회전근개 파열 1.1. 회전근개의 구조 회전근개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어깨관절의 앞, 뒤와 상부를 싸고 있는 4개의 근육 및 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상완골의 대, 소결절에 부착되어 있으며, 근육은 상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때 외전과 회외운동을 돕는다. 회전근개의 작용 및 합력은 관절와(관절오목)에서 상완골두에 작용하여 관절을 안정시키며, 삼각근의 근력이 작용할 때 전단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팔의 원활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의 퇴행성 변화, 부상 등으로 어깨를 들고 돌리는 힘줄이 끊어...2024.11.23
-
회전근개 파열 질환보고서 및 간호과정 분석2024.11.231. 회전근개 파열 1.1. 회전근개의 구조 회전근개(rotator cuff)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어깨관절의 앞, 뒤와 상부를 싸고 있는 4개의 근육 및 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어깨밑근, 작은원근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상완골의 대, 소결절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근육은 상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때 외전과 회외운동을 돕는다. 또한 회전근개의 작용 및 합력은 관절와(관절오목)에서 상완골두에 작용하여 관절을 안정시키며, 삼각근의 근력이 작용할 때 전단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팔의 원활한...2024.11.23
-
어깨충돌증후군 간호2024.08.181. 서론 1.1. 어깨 충돌 증후군과 회전근개 증후군의 개요 어깨 충돌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은 어깨 힘줄인 회전근개가 그 위에 있는 견봉 뼈와 부딪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 증후군은 중년에게 흔한 어깨 통증의 원인 중 하나로, 팔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직업군이나 운동선수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회전근개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은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4개의 근육(견갑하근,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에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 및 외상으로 인한 질병군을 포함한다. 이에는 견관절...2024.08.18
-
os op2025.01.151. Acromioplasty(+RC repair) 1.1. Acromioplasty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견관절 움직임시 회전근개 힘줄과 부딪히는 견봉의 아랫부분을 2-3mm 깍아 평탄화 시키는 수술이다. 상완골과 과도하게 자란 견봉돌기가 부딪히며 통증 및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 즉 충돌증후군 환자들에게 시행되는 수술이다. 피부를 절개하는 게 아니라 내시경으로 자그마한 구멍을 하나 뚫고 안쪽에서 견봉돌기를 절제한다. 정식 수술명도 A/S Acromioplasty 내시경적 견봉성형술이다. 보조기도 필요없고 2~3일 정도면 퇴원할 ...2025.01.15
-
회전근개 비사용증후군 간호과정2024.09.031. 회전근개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1.1. 해부생리 1.1.1.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근골격계는 수의근과 뼈, 연골, 인대, 건, 근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체조직을 보호하고, 신체를 지지하고 안정성을 제공하며, 조직화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뼈는 지지, 내부 장기 보호, 수의적 움직임, 조혈, 무기질 저장의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뼈는 장골, 단골, 편평골, 불규칙골로 분류되며, 장골에서는 골단, 골간, 골간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뼈는 신체를 지지하고 체중 부하를 가능하게 하며,...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