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Amelia Sung (Core2024.09.281. 서론 견갑난산(shoulder dystocia)은 산모와 태아의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치명적인 응급상황이다. 비록 온라인 실습이지만 vSIM으로 공부를 하면서 견갑난산의 사례를 보고 신기하였고 이럴 경우에는 어떤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지 궁금하여 사례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2. 분만 단계 2.1. 분만 제1기 2.1.1. 잠재기 잠재기는 정상적인 자궁수축이 시작되어 경부개대가 시작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궁수축이 불규칙하고 약한 편이며, 분만을 위한 경부 소실과 개대가 천천히 일어난다. 경부개대는 보...2024.09.28
-
vsim amelia sung 52024.10.021. 환자 정보 요약 1.1. 개인 정보 아멜리아 성(Amelia Sung)은 36세 필리핀계 여성으로, 개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아멜리아 성은 직업이 은행원이며, 기혼자로 보호자는 남편이다. 키는 157cm, 몸무게는 83kg이며, 조개 알레르기가 있다. 산과력은 G2-P1-L1이며, 첫째는 남아로 3년 3개월 전에 3.34kg 질 분만하였다. 1.2. 산과력 Amelia sung은 36세 필리핀계 여성으로 산과력 G2-P1-L1이다"." 첫째는 남아로 3년 3개월 전에 3.34kg 질 분만하였다"." 첫 아이가...2024.10.02
-
모성 브이심 62024.10.011. 임상추론웹(Kuiper et al.) 사례 분석 Amelia Sung은 36세의 필리핀 여성으로 임신 39주차의 G2P1(L1)로 24시간 전 진통 유발로 입원하였다. 첫째 아들은 3년 3개월 전에 견갑난산으로 출산하였다. 몸무게는 3,345g (7파운드 6온스), 길이는 55cm (22인치)이다. 옥시토신을 1mL/1mU로 시작하여 하루 종일 주입량을 늘렸다. 입원 시에 자궁경부는 -1 스테이션으로 2 cm 개대, 80% 소실되었고, 태아는 정점 위치에 있었다. 01:00에는 4 cm로 100% 개대되었으나 여전히 -1 스테...2024.10.01
-
vsim2024.10.081. 견갑난산 증례 보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 실습이지만 vSIM으로 공부를 하면서 견갑난산의 사례를 보고 신기하였고 이럴 경우에는 어떤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지 궁금하여 사례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견갑난산은 산모와 태아에게 매우 위험한 합병증이며,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 이를 경험하기는 어려우므로, vSIM 사례를 통해 간호중재를 익히고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견갑난산 사례를 보고하고, 이에 대한 간호과...2024.10.08
-
amelia sung 100점2024.10.031. 환자 정보 요약 Amelia sung는 36세 필리핀계 여성으로 임신성 당뇨병으로 제태기간 39주에 유도분만을 위해서 24시간 전에 입원하였다. 직업은 은행원이며, 기혼자로 보호자는 남편이다. 키는 157cm, 몸무게는 83kg이며, 조개 알레르기가 있다. 산과력 G2-P1-L1이며, 첫째는 남아로 3년 3개월 전에 3.34kg 질 분만하였다. 입원 시 자궁 경부는 2cm 개대, 80% 소실되어 있었고, 선진부는 두정위였으며 ?1 하강되어 있었다. 경부가 완전히 소실된 지 3시간째 태아가 분만되지 않는 것으로 봤을 때 분만 2...2024.10.03
-
여성 브이심2024.11.201. 여성 모성 간호 브이심(Vsim) Core 디브리핑 보고서 1.1. 1번: Olivia Jones (Core), 경증 자간전증 1.1.1. 자간전증의 질병, 증상, 원인에 대한 고려 자간전증은 임신 중 고혈압과 단백뇨가 동반되는 산과적 합병증이다. 자간전증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태반의 혈관 내피세포 기능 이상으로 인한 전신적 혈관 수축과 장기 손상이 주된 병리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자간전증의 주요 증상은 고혈압, 단백뇨, 부종, 두통, 시력 문제, 상복부 통증 등이 있다.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며, 임신...2024.11.20
-
견갑난산 간호과정2024.12.07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최근 결혼연령이 늦어지면서 초산연령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고위험 임신률도 증가하고 있다""(). 고령 임산부의 경우 태아염색체이상,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병, 조기진통, 태반조기박리 등이 발생할 위험이 크고 특히나 임신 전부터 비만,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엔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1.2. 질환에 대한 통계자료 통계청이 발표한 전체 산모에 대한 고령산모(35세 이상)의 비율을 살펴보면 2019년도에 33.3%로 2009년 15.4%, 2014년 21...2024.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