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6개
-
백일해 증상과 치료2024.09.131. 서론 재출현 감염병이란 질병이 감소하여 옛 질환으로 잊힐 듯하였으나 최근 다시 발생이 증가하는 감염병을 의미한다. 이는 새로운 의학적 및 보건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감염률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그중 백일해는 1945년 백신의 개발됨에 따라 전 세계적 유행이 소실되었으나 여전히 간헐적인 소유행이 지속되는 감염병이다. 결핵, 수두, 홍역, 콜레라 등과 같이 제2급 감염병에 속하며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고 격리가 필요하다. 이 병은 단순히 어린 영아에만 발생하는 질환이 아니라 청소년 및 성인에...2024.09.13
-
정신건강과관련된이슈(서론 본론 결론2024.09.121. 정신건강 이슈와 정책적 대응 1.1. 학대피해아동의 불안정 심리 문제 학대피해아동의 불안정 심리 문제는 아동학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주요한 정신건강 이슈 중 하나이다. 학대피해아동은 ADHD, PTSD, 우울증, 과잉 공격성, 조현병 등 다양한 형태의 불안정 심리 문제를 겪게 되는데, 이는 아동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크게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먼저, 학대피해아동의 불안정 심리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아동학대 보호체계의 문제와 아동학대 예방 정책의 오류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2024.09.12
-
다제내성균2024.09.101. 다제내성균의 개념과 분류 1.1. 다제내성균의 정의 다제내성균이란 항생제에 잘 죽지 않는 균을 의미한다. 항생제를 사용하다 보면 일부 내성균이 살아남아 번식하게 되고, 이렇게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을 다제내성균이라고 한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의료관련감염의 주요 원인균이 되고 있으며, 새롭게 출현하는 내성균의 국내 유입 및 확산이 감염관리의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2.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다제내성균 종류 1.2.1.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은 황색포도상...2024.09.10
-
감염2024.09.161. 감염성 질환의 개요 1.1. 법정 전염병 종류 법정 전염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제1군 전염병에는 콜레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이 포함된다. 제1군 전염병은 발견 즉시 신고해야 하는 질병들이다. 제2군 전염병에는 디프테리아, 파상풍, 홍역, 일본뇌염, 폴리오,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B형간염, 풍진이 포함되며 예방접종 대상 질병들이다. 제3군 전염병에는 성홍열, 쯔쯔가무시병, 렙토스피라증, 말라리아, 결핵, 성병, 한센병, 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브루셀라증, 발진티푸스, 유행성...2024.09.16
-
방사선사2024.09.161. 방사선 의료사고와 대응 1.1. 방사선 의료사고 사례 방사선 의료사고 사례는 다음과 같다. 43세 나이로 미국에서 사망한 스콧 제롬 파크스는 치명적인 방사선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귀가 들리지 않고 눈이 보이지 않게 되었으며 이가 빠지고 구역질이 심해지는 등 악몽과도 같은 고통 속에서 숨을 거두었다. 파크스의 설암(tongue cancer)을 치료하던 미국 맨해튼의 성 빈센트 병원은 방사선 치료에 사용되는 선형 가속기를 통제하는 컴퓨터의 오작동을 발견하지 못해 파크스의 뇌 세포와 목이 사흘 연속으로 잘못된 방사선에 노출되는 ...2024.09.16
-
임종환자간호2024.09.191. 상황별 환자 간호 1.1. 격리환자 간호 격리환자 간호는 공기주의 격리, 비말주의 격리, 접촉주의 격리 등 환자의 감염 경로와 증상에 따라 달리 적용된다. 공기주의 격리는 활동성 결핵, 홍역, 수두, 파종성 대상포진, 신종호흡기 감염병 등의 환자에게 사용되며, 음압실에 입원시키고 N95 마스크를 착용한다. 환자의 병실 밖 이동은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제한된다. 비말주의 격리는 인플루엔자, 뇌수막구균, 백일해, 신종호흡기 감염병 등의 환자에게 적용되며, 가능하면 1인실에 배치하거나 코호트 제자리 격리를 실시한다. 보호구로...2024.09.19
-
격리2024.09.251. 격리의 개념과 종류 1.1. 격리의 정의 격리(isolation)란 감염자나 감염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의료진이 감염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감염 전파를 차단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법정전염병·검역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보균자·의사환자 등 타인에게 감염될 우려가 있는 사람을 일반의 사회생활 환경에서 분리하는 의학용어이다. 1.2. 격리의 필요성 격리의 필요성은 감염자나 보균자,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의료진의 감염을 예방하고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하여 병원 내 감염을 ...2024.09.25
-
미생물학 감염보고서2024.09.291. 병원감염 및 감염관리 1.1. 병원감염의 개념과 사례 병원감염(hospital infection)이란 원내감염이라고도 하며 감염원(感染源)과 피감염원(被感染源)이 동거하고 있는 상태인 병원에서의 감염을 특히 병원감염이라고 한다."" 원래는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병원감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오늘날 각종 항생물질의 개발에 따라 항생제 내성이 생겨 그 원인이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병원감염은 내인성 감염원과 외인성 감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인성 감염원은 장기이식을 받거나 면역기전이 장기간 억제된 환자들에...2024.09.29
-
영화 감기2024.09.261. 감상문 시청 후 느낀 점 감상문 시청 후 느낀 점은 다음과 같다. 감기라는 영화를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 감상한 적이 있었지만, 어린 나이였었고 감염병에 대한 경험이 없어 영화와 같은 상황이 온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우리나라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사람들은 과연 어떤 식으로 생활을 해나갈지 막연한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영화를 본 몇 년이 지나 COVID-19가 나타나면서 영화를 다시 보게 되니 현재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이 얼마나 늦었는지 알게 되었다. 만약 외국인들이 철저한 입국 절차를 거쳤다...2024.09.26
-
보건의료법규2024.10.021. 보건의료관계법규 1.1. 보건의료기본법 1.1.1. 목적 「보건의료기본법」 제1조의 목적은 보건의료에 관한 국민의 권리ㆍ의무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규정하고, 보건의료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보건의료의 발전과 국민의 보건 및 복지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국민 개개인의 건강 및 보건의료 수요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또한 보건의료 서비스의 효율적인 공급체계를 구축하여 국민 전체의 보건 및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