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광고의 격률 위반 사례2024.09.191. 광고에서의 대화함축 1.1. 격률을 준수한 사례 1.1.1. 질의 격률 준수 격률을 준수한 사례들 중 질의 격률 준수에 해당하는 사례는 "니가 알던 탄산수가 아니야 (초정탄산수, 2014년 11월)"이다. 이 광고는 초정탄산수가 첨가물이 없고 칼로리가 없어 기존의 탄산수와 다르다는 것을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여 말하고 있다. 따라서 진실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고 있어 질의 격률을 준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양의 격률 준수 집나간 명태를 찾습니다! 동해안 명태가 사라져, 국민들은 수입산 명태를 먹고 있습...2024.09.19
-
조선대학교 언어레시피2024.10.221. 광고 속 언어적 기법 1.1. 대화의 격률 1.1.1. 질의 격률 질의 격률은 거짓이라고 생각되는 말, 증거가 불충분한 말은 피하고 증거가 충분한 진실된 정보만을 제공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광고에서는 질의 격률을 의도적으로 위반하여 소비자의 주목을 끌거나 광고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그린피스의 "Do you know what you eat?" 광고에서는 자연과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전갈이라는 위험한 동물에 비유하며, "당신이 무엇을 먹고 있는지 아십니까"라는 의문문 카피를 사용함으로써 ...2024.10.22
-
한국어 의미론2024.08.251. 서론 1.1. 한국어 의미론의 중요성 한국어 의미론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한국어 의미론은 한국어 교육에 있어 필수적인 하위 분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첫째, 한국어 의미론은 한국어 어휘 교육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풍부한 어휘력은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 능력과 직결된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다양한 어휘와 그 의미를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의미장 이론과 같은 한국어 의미론의 접근 방식은...2024.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