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요약 및 정리2024.10.011. 임상진단검사와 간호 1.1. 진단검사와 간호 1.1.1. 진단검사의 단계 진단검사의 단계는 '검사 전', '검사 중', '검사 후'의 3단계로 구분된다. 첫째, '검사 전' 단계에서는 대상자의 준비상태를 확인하며, 검사에 필요한 장비와 준비물을 파악해야 한다. 대상자 교육을 실시하여 검사의 목적과 절차, 검사로 인한 활동제한 및 신체반응, 합병증, 검사 장비, 결과 확인 시간 등을 설명한다. 또한 대상자와 가족이 검사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두려움을 해소시킨다. 둘째, '검사 중' 단계에서는 표준지침과 무균...2024.10.01
-
미생물검체채취2024.11.081. 병원 내 검체 관리 1.1. 혈액 Sample Bottle 병원 내 검체 관리에서 '혈액 Sample Bottle'은 다양한 검사 항목에 따라 각기 다른 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빨강색 용기는 SERUM 검사를 위해 사용되며, 보라색 용기는 CBC(Complete Blood Count) 검사를 위한 EDTA 처리된 혈액을 담는다. 파랑색 용기는 PT(Prothrombin Time)/PTT(Partial Thromboplastin Time) 검사를, 노랑색 용기는 간기능 검사(LFT)를, 회색 용기는 Glucose 검사를 위해 ...2024.11.08
-
방사선안전2024.09.021. 방사선 비상 상황 대처 1.1. 방사선 비상의 개념 방사선 비상의 개념이란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 누출 등의 사고가 일어났거나, 일어날 우려가 있을 때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사선 비상 상황은 그 영향의 심각도에 따라 백색 비상, 청색 비상, 적색 비상으로 구분된다. 백색 비상은 방사성물질의 누출로 인한 영향이 원자력 시설의 건물 내부에 국한되는 경우이다. 청색 비상은 방사성물질의 누출로 인한 영향이 원자력 시설의 부지 내부에 국한되는 경우이다. 적색 비상은 방사성물질의 누출로 인한 영향이 원자력 시설의 부지 외부까지 미치는...2024.09.02
-
주사침자상교육2024.09.271. 2023년 상반기 감염 지표관리 보고서 1.1. 다제내성균 발생률 지표정의서 1.1.1. 정의 및 산출식 다제내성균 발생률 지표정의서의 '1.1.1. 정의 및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지표정의는 환자 재원일당 다제내성균 6종(MRSA, CRE, VRE, MRPA, MRAB, VRSA) 감염 발생비율이다. 분자는 다제내성균 분리 건(최초 다제내성균 분리만 포함)이고, 분모는 환자 총재원일수(일일 재원 환자의 합)이다. 단, 선별검사 및 외래 내원 환자는 제외대상이며, 월 중복되는 다제내성 분리건수도 제외한다. 이는 의료...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