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8살 심전도 모니터링 결과 알려줘2024.10.091. 심전도 모니터 정착 및 관리 1.1. 정의 EKG Monitor란 체표면을 통하여 심장의 전기적 신호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심방 및 심실의 비대,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낭염, 약물의 영향, 전해질 대사의 이상(칼륨, 칼슘 등), 인공심박조율기의 기능 등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1.2. 간호 수행 심전도 모니터 정착 및 관리에서 간호 수행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하고 효과적인 심전도 측정을 위해 환자의 피부를 준비하고, 정확한 전극 부착 위치에 전극을 부착한다. 이 때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전극 부착...2024.10.09
-
수혈검사학 임상2024.09.301. 임상병리학과(임상의학과) 1.1. 임상병리학과의 정의 임상병리학과(임상의학과)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해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학과이다. 즉, 환자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업무이다. 이를 위해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2024.09.30
-
임상병리사 미생물2024.11.301. 임상병리학 1.1. 임상병리란 임상병리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자의 혈액, 조직, 생체액을 물리·화학·유전학 및 미생물적으로 검사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한다. 주요 분야로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이 있으며, 이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를 임상병리학자라 한다. ...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