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결핵환자 지역사회간호학2024.09.161. 결핵 개요 1.1. 결핵의 개념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이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이다. 결핵은 주로 치료를 받지 않은 활동 폐결핵 환자의 기침, 재채기, 말할 때 나오는 미세한 침방울에 섞여 있는 결핵균을 호흡기를 통해 흡입하면서 감염되는 제2급 만성 감염병이다. 결핵 환자와 밀접 접촉자 중 약 30%가 감염되지만 감염자 중 약 10%에서만 발병하며, 이 중 절반(5%)이 감염 후 1~2년 이내에 발병하고 이후 급격히 발병률이 떨어진다. 다만 평생에 걸쳐 면...2024.09.16
-
자궁경부암2024.09.181. 자궁경부암 개요 1.1. 정의 자궁경부암이란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써, 자궁경부암의 발생부위를 보면 자궁경부와 질부의 경계 부근으로, 그 위쪽에 생기는 암을 말한다. 자궁경부암은 여성들 사이 암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에서 더 흔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1.2. 발병 원인 자궁경부암의 발병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특히 성 접촉에 의한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이 주된 원인이다""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자궁경부 상피세포에 감염되어 불규칙적...2024.09.18
-
건강사정 심장2024.09.231. 심장 및 혈관 건강 사정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근육성 기관으로 흉강 중앙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4개의 공간, 즉 좌우 심방과 좌우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의 무게는 여성의 경우 약 255g, 남성의 경우 약 310g 정도이다. 심장의 모양은 역 원추형이며, 기저부는 좌측 제2늑간에 위치하고 있고, 첨부는 좌측 제5늑간과 좌측 중앙쇄골선이 만나는 부위에 위치한다. 심장은 두 가지 주요 기능을 하는데, 우심장은 혈액을 폐로 보내어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는 폐순환을 담당하고, 좌심장은 산소가 공급된...2024.09.23
-
담낭암 침습적 수술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2024.09.251. 서론 2001년 한국중앙암등록사업 보고서에 의하면 담도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전체 암의 약 1.5%, 전체 소화기 암의 약 5%를 차지하는 비교적 드문 암이지만 그 진단 예가 조금씩 증가 추세이다. 60대에서 잘 생기며, 남녀의 비율은 비슷하지만 여자에 비해 남자에게 조금 더 많이 발생한다. 2005년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에 의하면 쓸개 및 기타 담도암이 전체암의 7위로 2.9%, 성별 암 발생분율은 남자 2.7%, 여자 3.2%로 나타났다. 담낭·담도암은 다른 암에 비해 발생 빈도는 낮지만 조기 진단이 어렵고 주변 ...2024.09.25
-
신생아 사정2024.09.301. 신생아 신체사정 1.1. 활력징후 측정 1.1.1. 체온 신생아의 체온은 출생 직후부터 측정하여 관찰해야 한다. 정상 신생아의 체온은 36.5~37.5℃이다. 그러나 출생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체온이 낮아지거나 높아질 수 있다. 신생아는 자율신경계와 체온조절기능이 미성숙하여 체온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신생아의 체온은 주의깊게 관찰하고 평가해야 한다. 체온 측정은 일반적으로 액와(겨드랑이)에서 측정하며, 직장 체온계 사용은 직장 천공의 위험이 있어 금기이다. 체온이 38.5℃ 이상이면 고열로 간주하며, 36.5...2024.09.30
-
건강사정 복부2024.10.281. 복부 검진 1.1. 복부의 구조 복부는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내분비계, 혈관계 등 다양한 장기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부는 위쪽으로는 늑골모서리에서부터 아래쪽으로는 치골과 서혜부까지를 포함하며, 옆으로는 옆구리까지를 포함한다. 복부 내에는 호흡기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내장기관이 존재하는데, 특히 위장관계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복부 내에는 위, 소장, 대장과 같은 소화기관과 간, 담낭, 췌장, 비장 등의 부속소화기관, 그리고 신장, 방광과 같은 비뇨생식기관이 위치해 있다. 이러한 장기들은 복강 내에서 특정한 해...2024.10.28
-
아동 발달단계별 섭취량 배설량 측정방법2024.11.211. 아동 간호 1.1. 아동의 신체 사정 1.1.1. 아동의 발달단계 별 신체사정 출생에서 6개월까지의 영아는 사람 얼굴에 반응하고 자신의 주변 환경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검진은 쉬운 편이며 아기가 부모 품에서 젖을 먹고 있거나 잠들어 있다면 아기를 깨우지 않고 심음과 폐음, 복부 청진을 하도록 한다. 아기가 깨어 있다고 하더라도 아기를 검진대에 누이거나 부모가 안고 있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검진할 수 있는 방법이다. 고관절검사와 고막검진을 위한 이경검사, 모로검사 등과 같은 편안하지 않은 검사들은 ...2024.11.21
-
A 자궁경부암 케이스2024.12.251. 서론 1.1. 자궁경부암의 정의 및 특성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이다. 자궁경부암은 하루 아침에 생기는 것이 아니며 암이 되기 이전에 전암단계를 상당 시간 동안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상피내 세포에 이상이 발생하는 자궁경부상피이형성증(정상조직과 암조직의 중간과정)을 거쳐, 상피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자궁경부암 0기)으로 진행하게 되고, 이 단계에서도 발견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자궁경부암은 점...2024.12.25
-
복부대동맥류 간호과정2024.10.2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복부대동맥류는 터지면 70-80%가 사망하게 되어서 뱃속의 시한폭탄이라고 불린다. 복부대동맥류가 터지면 급속한 대량출혈로 인해 병원에 도착하기도 전에 환자의 30%가 사망을 하게 되고, 수술 준비과정과 응급수술 시 사망까지 합치면 전체의 70-80%의 환자가 사망을 하게 된다. 하지만 복부대동맥류는 터지기 전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가족력을 살피고, CT나 MRI 등으로 전신의 동맥류 발생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1.2.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질병에 대한 문...2024.10.29
-
자궁경부암 간호2024.10.201. 자궁경부암의 정의와 특징 1.1. 자궁경부암의 정의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으로, 우리나라에서 2018년 한 해 약 3,800여 명의 환자가 새롭게 발생하고, 약 800여 명의 여성이 이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 또한 전체 암 발생순위에서 일곱 번째로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며, 특히 15∼34세 군의 여성암 발생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자궁경부암 예방적 관리가 시급히 요구된다. 1.2. 자궁경부암의 발생원인 자궁경부암의 발생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유두...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