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BIM정의, 기술 및 도입 효과2025.01.161. 서론 1.1. 건설업의 디지털 전환과 BIM 최근 모든 경제 및 산업 부문에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시티나 스마트 자동차와 같이, IoT, 빅데이터, AI 같은 첨단 기술이 새로운 개념과 형태를 도입하며 각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건설업 또한 디지털 변환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디지털 기술의 적용 확장, BIM의 사용 증가, 현장 자동화와 로봇기술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BIM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프로젝트 발주 방식(IPD) 또는 설계 초기부터 참여하는 Pre-Co...2025.01.16
-
BIM정의, 기술 및 도입 효과2025.01.161. 서론 1.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요구되는 모든 정보를 디지털 모델로 통합 관리하는 기술이다. 국토해양부는 BIM을 건설 전 분야에 걸쳐 시설물의 물리적 및 기능적 특성을 반영하는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모델과 그 작성 절차로 정의한다. GSA는 BIM을 건축물의 설계를 문서화하고, 새로운 자본이나 재투자 자본을 위한 시설물의 건설 및 운영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데이터...2025.01.16
-
CM의 개념과 업무내용 정리2024.10.311. 건설 프로젝트 개요 1.1. 건설 프로젝트 참여 주체 건설 프로젝트에는 다양한 참여 주체가 있다. 건축주, 설계자, 감리자, 관리자, 도급자, 건설노무자 등이 그들이다. 건축주는 건설 프로젝트의 발주자로서, 프로젝트 계획과 예산 수립, 설계자와 시공자 선정, 감리자 선정 등의 역할을 한다. 건축주는 프로젝트의 기획 및 운영 단계에서 주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핵심 참여자이다. 설계자는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기획설계, 계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등 건축 설계 프로세스를 주도한다. 또한 시공단계에서는 감리 업무를 수...2024.10.31
-
bim설계적용과 관련하여 3가지 설계단계에 대하여 기술하시요2024.10.22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개요 1.1. BIM의 정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설 프로젝트의 설계, 시공, 운영 및 유지관리 전 단계에 걸쳐 디지털 모델 기반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 활용되는 기술이다. 이는 기존의 2D 도면 기반 설계에서 탈피하여 3D 모델링을 통해 건물의 실제 형상과 정보를 가상 공간에서 구현하고, 이를 활용하여 건설 프로세스 전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BIM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살...2024.10.22
-
건축 공정계획에 수립시 절차2024.09.051. 건설 프로젝트의 생애주기와 참여 주체 1.1. 건설 프로젝트의 정의와 특성 건설 프로젝트는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에 걸쳐 계획되고 추진되는 일련의 활동이다. 건설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건설 프로젝트는 복잡성과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건설 프로젝트는 다양한 참여 주체와 기능이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위험 요인들이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효과적인 관리와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건설 프로젝트는 장기성을 가지고 있다. ...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