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경상대2024.09.131. 삼국시대와 가야의 등장 및 형성 1.1. 삼국의 건국 신화 삼국의 건국 신화는 각 나라가 어떻게 세워졌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이 때 삼국의 건국의 신화가 공통적으로 시조가 하늘에서 온 알에서 나오는데 이는 왕이 곧 하늘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시조를 나타낸 이유는 알에서 나온 건국신화를 통해 시조와 그의 자손들은 하늘의 자손이며 그들이 나라를 다스리는 이유가 충분하며 자격이 있음을 보이고자 시조를 신성시하게 꾸몄다. 고구려 건국 신화가 가장 오래 전에 기록되어(광개토대왕비) 전해 내려왔다. 백제와 신라의 건국신화는 삼국...2024.09.13
-
세계사적 보편성과 한국사의특수성에 해당하는 사례를 각각 5가지 이상 요약2024.09.221. 서론 1.1. 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역사는 인류가 살아온 모든 것에 대한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다. 이 때문에 역사 속에는 인류로서 가질 수 있는 보편성이 존재하고, 서로 다른 인문·자연 환경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특수성이 발생한다. 특수성이란 이 보편성의 기반 위에 각 민족과 나라가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 인문·지리적 환경, 고유의 정서, 민족적 의지 등 다양한 요소들을 받아들여 독창적인 문화와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특수성은 인류의 보편성이 존재하기에 발생 가능한 성격이다. 보편성이란 인류가 살아...2024.09.22
-
구비문학 신화 비교: 한국, 중국, 일본2024.10.261. 서론 구비문학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라는 의미를 갖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설화는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꾸며낸 이야기라는 의미를 가지며, 연극이나 판소리 등과는 달리 말로만 전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설화의 구전은 완전히 기억해서 온전한 형태로 전하는 것이 아닌, 핵심 구조만 전달하고 이야기를 전달하는 화자 나름대로 살을 덧붙이거나 빼서 전달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 중에서도 신화는 신성하게 여겨지는 이야기이다. 신화는 그 신화를 신성시하는 집단의 것이다. 이 말의 의미는 신화는 그 신화가 발생한 지역 혹은 국가에서...2024.10.26
-
한국문학통사 1권2024.10.211. 한국문학통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1.1. 문학의 범위 문학의 범위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문학이라는 용어의 정의이다. 문학은 언어로 이루어진 예술로, 형상화와 인식의 복합체이다. 문학은 실용적인 말과 구별되는 형상, 그리고 재미있기만 한 말장난과 구별되는 인식을 포함한다. 즉, 문학은 현실을 추구하는 활동이며, 이를 통해 독자에게 깊은 감동과 통찰을 전달할 수 있다. 둘째, 문학의 기본적인 요건이다. 문학은 글이 아니라 말로 시작되었다. 구비문학이나 입말문학이 먼저 생겨났고, 이후에 글을 통한 문학이 ...2024.10.21
-
박혁거세2024.10.201. 서론 우리나라 최초의 기원을 단군신화에서 찾고 있다. 단군신화를 통해 웅녀와 환웅이 결혼하여 단군을 낳고 단군이 이후 고조선을 건국했다는 내용은 신과 동물의 결합이라는 신비로운 내용을 담고 있으나 사실은 각 토템을 섬기는 부족 간의 경쟁으로 곰 부족이 이겨 환웅과 결탁하여 고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할 수 있다. 주몽 신화는 부여에서 이주한 주몽이 태조왕이 되어 계루부를 중심으로 고구려를 세웠고 이후 중앙집권적 고대국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고구려가 성장하던 시기 한반도 중남부에는 70여개의 마한, 변한, 진한 등 작은 국가들이 ...2024.10.20
-
한국사 속 대외관계와 관련한 역사 인물, 역사 사건, 문화2024.10.181. 삼국시대 서울의 역사 1.1. 삼국시대 서울의 역사인물 1.1.1.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은 374년부터 412년까지 삼한국 중 하나인 고구려를 다스린 왕이다. 그는 고구려를 국제무대에 알리기 위해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펼쳤으며, 군사적으로도 주변 국가들과 전쟁을 벌여 영토를 확장하는 데 성공하였다. 광개토대왕은 고구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 중 한 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다양한 문화적 업적을 남겼는데, 대표적으로 요령문답산에 위치한 "광개토왕릉"을 건립하였다. 이 왕릉은 2004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2024.10.18
-
영자해 레포트2024.12.011. 시대와 정신 - 전공과 연관된 삼국사기 컨텐츠 1.1. 서론 1.1.1. 동기 삼국사기와 나의 전공이 연계된 컨텐츠를 처음에 생각하였을 때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 막막했고, 쉽게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았다. 영어'문학'에 집중하여 접목시키기에는 13세기 영문학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을 뿐더러 컨텐츠를 만들어 내기에는 내용이 부족했다. 결국 영어 자체를 활용한 컨텐츠를 만들어 내기로 결정하였다. 교수님과 상의한 결과 교수님께서 삼국사기를 영어동화로 구현해 내는 것이 어떻겠냐고 아이디어를 주셨다. 우리나라의 역사에 관심이 ...2024.12.01
-
문학과신화2024.12.201. 외국 신화 소개 및 의미 탐색 1.1. 중국의 반고 신화 1.1.1. 신화 내용 소개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먼 옛날, 혼돈과 어둠만이 가득한 거대한 알의 형태를 띤 우주 안에서 반고라는 거인이 잠자면서 성장하고 있었다. 18,000년이 지난 어느 날 반고는 드디어 잠에서 깨어났고 거대한 팔을 휘둘러 혼돈과 암흑을 갈라놓자 가볍고 맑은 것은 떠올라 푸른 하늘이 되고, 무겁고 탁한 것은 가라앉아 땅이 되었다. 반고는 이 둘이 다시 섞이지 않도록 하늘과 땅 사이에 버티고 선 채 18,000년을 버텼고, 반고의 키가 매일 1장...2024.12.20
-
한국문학통사2025.01.071. 한국 문학사 개관 1.1. 문학의 범위 1.1.1. 구비문학, 한문학, 국문문학 구비문학, 한문학, 국문문학은 한국 문학의 범위를 구성하는 주요 부분들이다. 구비문학은 말로 전해 내려오는 문학으로, 신앙서사시, 창세서사시 등의 형태로 고대부터 존재해왔다. 말로 전해진 문학은 언어예술의 형태로 발전했고, 춤과 노래, 그리고 이야기가 결합된 원시종합예술의 모습을 보였다. 한문학은 한문으로 쓰인 문학으로, 고대부터 동아시아 공동문어로 사용되어왔다. 중세에는 지배층 상층부의 문학 형식으로, 상층남성이 독점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2025.01.07
-
통일성잇게 글쓰기 중일국어2024.08.311.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1.1. 한국문학통사 국문학사는 나라 안에서 우리끼리 전승하고 연구하던 문학사이고, 한국문학사는 다른 나라 사람들과 함께 공동의 관심사로 삼는 문학사이다. 조선문학사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통일 후의 관점을 포용한 문학사를 "우리문학사"라고 할 수 있다. 통사는 고전(근대 이전)문학과 현대(근대)문학을 함께 다루어 연관관계를 밝히는 것이 소중한 과업임을 명시하고 있다"." 1.2. 문학의 범위 문학의 범위는 광범위하며, 단순히 시, 소설, 희곡만을 포함하는 좁은 의미가 아닌 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다. 문...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