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개
-
지역사회영양 사업 보고서2024.12.19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1.1.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의의 및 특성 1.1.1. 개념 및 추진배경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지자체가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생활실천 및 만성질환 예방, 취약계층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기존의 17개 개별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을 통합하여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추진 배경으로는 먼저, 기존의 국고보조사업 방식이 중앙정부에서 정한 사업내용과 방법에 따라 지자체가 수동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지역 여건을...2024.12.19
-
지역보건 분석 및 평가2024.09.101. 지역보건의료계획 개요 1.1. 지역보건의료계획의 배경 및 법적 근거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역 주민의 건강 향상을 위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보건에 대한 중장기 기본방향 수립할 필요가 있다. 지역의 설정에 맞는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하여 지역 주민의 보건의료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주민 건강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1995년 지방자치단체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며 보건소법을 지역보건법으로 개정하였다. 개정된 지역보건법에 따라 보건소가 지역보건의료계획 및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과 연차별 시행결과 보고가 의무화되었다. ...2024.09.10
-
직무수행계획서 간호공무원2024.11.141. 사업계획서 1.1. 사업의 필요성 지난해 대한민국 합계 출생률은 0.98명으로 OECD 국가 중 꼴찌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다. 이는 출생아, 가임기여성, 영유아 비율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한 인구 감소를 해소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산모우울, 장애인, 청소년산모, 미혼모, 약물중독과 관련된 산모들의 고통은 방문자 중심의 수동적인 보건소 역할로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의 보건소 서비스는 방문자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방문 간호사가 개별 가정을 방문하여 산모와 아동의 신체적ㆍ정서적 어려움을 함께 살펴보고 건강관리와 ...2024.11.14
-
업무지원서2024.10.201. 개요 1.1. 공공의료와 간호사의 역할 공공의료는 메르스와 같은 사회적 책임을 수반하는 질병의 예방관리는 물론이고 국민의 건강한 삶을 만들어나가는 데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OECD 국가와 비교했을 때 현재 우리나라 공공의료의 비중은 10%미만이고 보건복지부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 수준에 불과하지만, 연이은 신종 전염병 등장으로 인해 공공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제고된 만큼 앞으로 지역의료보건사업, 주민건강관리사업 등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간호사는 간호업무는 물론이고 지역사회 지역의료보...2024.10.20
-
기초 생활보장 지역 사회간호과정2025.03.311. 서론 1.1. 기초 생활보장 지역 사회간호과정 기초 생활보장 제도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수급자격 및 급여수준이 결정되며, 이를 통해 저소득층의 생활을 안정적으로 보장하고자 하는 공공부조 제도이다. 지역사회 간호사는 이러한 기초 생활보장 수급자들의 건강관리와 욕구 해결을 위해 다양한 중재를 제공한다. 지역사회건강사정을 통해 기초 생활보장 수급자들의 특성과 건강관리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기초 생활보장 수급자 현황을 살펴보면 전국적으로 약 188만 명이 수급 중이며, 이 중 의료급여 수급자도 약 143만 명에 달한다. ...2025.03.31
-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소 심뇌혈관질환 보고서2025.02.251. 서론 1.1. 선정이유 울주군은 노인인구와 노년부양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한 노년을 유지하기 위한 노인 대상 사업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2016년 기준 울주군의 총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1.6%로 전년 대비 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울주군은 넓은 면적과 도·농 복합지역의 지리적 여건상 의료기관 접근성이 취약한 실정이다. 울산광역시 전체 병·의원 개소 1,261개 중 울주군의 병·의원은 150개소에 불과하여 울주군민의 의료기관 이용 접근성이 ...2025.02.25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1-2030) 2023년 대표지표 분석보고서‘에서 ’금연‘과 ’절주‘의 대표 지표와 현황2024.09.071.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개요 1.1.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개념과 법적 근거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은 「국민건강증진법」 제4조에 근거하여 수립되는 국민의 건강증진과 질병의 사전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범정부적 중장기 종합계획이다. 동법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장관은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질병 사전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중장기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수립 목적은 병이 발생하기 이전에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생활을 실...2024.09.07
-
수원시 국민디자인단2024.11.061. 지역사회 보건사업 계획서 1.1. 개요 이 보건사업계획서는 지역 실정에 적합한 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시민건강 향상 도모를 위한 계획서이다. 수행기간은 2015년~2018년까지 4년간의 계획이다." 1.2. 현황 및 분석 1.2.1. 지역사회 보건사업 기획의 유형 지역사회 보건사업 기획의 유형에는 기간별, 대상별, 지역별 유형이 있다. 기간별 유형으로는 장기기획, 중기기획, 단기기획이 있다. 이 계획서는 2015년~2018년까지 4년간의 중기기획에 해당한다. 대상별 유형으로는 개인...2024.11.06
-
지역사회간호과정 케이스2024.09.041. 서론 1.1. 지역사회 간호사정 및 분석 안동시는 경상북도 동북부 내륙중심지에 위치한 도시로, 동으로는 영양, 청송, 서로는 예천, 남으로는 의성, 북으로는 봉화군에 인접해 있다"" 총 24개의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태백산맥의 맥을 이루고 낙동강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다가 반변천과 합강하여 동서로 관류하고 있다"" 또한 안동댐과 임하댐이 있어 절경을 이루고 있다"" 안동시의 서남은 비교적 평탄하지만 동북은 산악이 험준하여 농경지는 거의 산간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풍산평야를 제외하고는 평지가 매우 적은 편이다"" 안...2024.09.04
-
대구 통합건강증진사업 기획서2024.09.251. 개요 1.1. 보고서 주제 및 목적 이 보고서의 주제 및 목적은 2020년도 대구광역시 달서구보건소의 음주폐해예방보건사업을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보고서에서는 대구광역시 달서구보건소의 음주폐해예방(절주) 사업과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한 음주폐해예방사업 매뉴얼을 비교 분석하여 우수사례와 개선이 필요한 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효과적인 음주폐해예방 보건사업 수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1.2. 보고서 구성 이 보고서는 대구광역시 달서구보건소의 음주폐해예방보건사업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2024.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