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한국, 캐나다, 스웨덴, 일본 보건의료정책 분석2024.09.121. 보건의료체계의 유형 1.1. 자유방임형 자유방임형은 '자유기업형'이라고도 불리며, 의료기관 선택에 대한 자유가 최대한 보장되고 정부의 통제가 극히 제한되는 형태이다. 질병발생에 대비하여 건강보험제도가 정착되어 있고, 의료기관들 간의 경쟁이 치열하여 의료서비스의 질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의료자원의 지역 간 불균형이 심한 편이다. 자유방임형 보건의료체계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국가로는 미국, 일본, 한국 등이 있다. 1.2. 사회보장형 사회보장형은 의료의 생산이 국가에 의해 계획적으로 이루어지며, 계획되어 생산된 보건의...2024.09.12
-
보건복지정책과 외국 보건복지정책2024.11.011. 금연정책 1.1. 우리나라 금연 정책 사례 1.1.1. 서울시의 '금연도시 서울' 정책 서울시는 2016년 5월 1일부터 서울시 지하철 출입구 10미터 이내를 일괄 금연 구역으로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9월 첫 1주일간 932건을 적발하고, 추가로 9월 1662건, 10월 1181건을 단속하였다. 그 결과 출입구 전체에 대한 1차 모니터링 당시 '출입구별 시간당 흡연자'가 39.9명이었으나, 90개 출입구를 대상으로 한 2차 모니터링에서는 5.6명으로 34.3명(86.1%)이나 감소하였다. 또한 서울시가 '금연도시 서울' ...2024.11.01
-
전 세계적 혹은 국내적으로 중요한 헬스케어 문제2024.11.011. 서론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유래없이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전체 인구중 20%가 노인)에 진입하였고, 앞으로 10년 동안 베이비부머들의 지속적인 고령화가 이어져 고령화는 지금보다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 노인돌봄과 의료서비스는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돌봄인력과 의료인력의 부족을 타계할 만한 방향으로 사물인터넷과 IoT 기술 등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와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ㆍ외 사례를 조사하고,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2024.11.01
-
외국 시니어 건강 조사 및 최신 쟁점 분석2024.11.211. 시니어 건강 관련 국가별 지원 및 개인 방법 1.1. 국가적 지원 - 의료보장제도 1.1.1. 미국의 의료보장제도 미국의 대표적인 시니어 의료보장정책은 '메디케어(Medicare)'라고 볼 수 있다. 이 메디케어는 미국 연방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인 의료보험 제도이며 1965년 린든 존슨 대통령 때 제정되었다. 매디케어의 자격요건은 사회 보장세를 20년 이상 납부한 65세 이상의 노인이거나 65세 미만이지만 특정 장애가 있는 이들이다. 메디케어는 파트 A~D까지 네가지로 구성된다. 파트A는 병원 입원과 너싱홈 비용,...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