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미적,수2,세특2024.11.231. 미분을 이용한 로지스트 방정식 1.1. 개체군 증가 모델 1.1.1. 이론적 생장곡선(지수형) 이론적 생장곡선(지수형)이란 생물의 개체수가 이상적인 환경조건에서 생식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고 계속 번식한다면,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J자 모양의 생장 곡선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론적 생장곡선을 유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개체수가 t시간에 n, t+dt시간에 n+dn이라고 하면, 단위 시간당 증가량은 dn/dt로 나타낼 수 있다. 개체수가 이상적인 조건에서 증가한다면 이 증가량은 그 시점의 개체수 n에 비...2024.11.23
-
생명의 수학2024.11.111. 개체군 성장 모델 1.1. 지수 성장곡선 지수 성장곡선은 특정 개체군이 성장하기 알맞은 먹이와 서식 환경 조건에 제한이 없고, 외부 요인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모델이다. 개체군의 증가율은 개체수의 변화량을 개체수로 나눈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dN/dt)/N = r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 r은 개체군의 증가율을 의미한다. 초기 개체수를 N_0라고 하면, 시간 t에 대해 개체수 N_t는 N_t = N_0 e^rt를 만족한다. 이와 같이 지수 성장곡선 모델은 개체군이 제...2024.11.11
-
생명의 수학2024.08.311. 개체군 성장 모델 1.1. 개체군의 정의와 특징 개체군이란 동일한 종에 속하는 개체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개체군은 생태계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생물학과 생태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개체군은 일정한 지역에서 생활하며 상호작용하는 동일 종 개체들의 집합체이다. 개체군의 특징으로는 첫째, 개체군이 동일한 유전적 구성을 가지며 둘째, 개체군 내에서 개체들이 상호작용하며 셋째, 개체군의 크기와 밀도가 변화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에 살고 있는 토끼 개체들의 집단이 이에 해당한다. 개체군의 변화는 생태계의 구조...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