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산부인과 응급2024.09.231. 들어가며 최근 의료기기 영업사원이 정형외과 의사 대신 수술을 하다가 환자를 뇌사에 빠뜨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 성형외과에서는 마취된 환자를 두고 성희롱을 하는 등 수술실 내 문제가 이어졌다. 이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경기도는 도내 공공병원 수술실에 CCTV를 설치키로 결정했지만 의료계는 의료진의 사생활(프라이버시) 침해이며 의사와 환자 간 신뢰를 무너뜨린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경기도는 11월 1일부터 경기의료원 안성병원 수술실 5곳에 CCTV를 설치해 시범운영을 실시할 계획이...2024.09.23
-
swot분석으로 병원시스템 및 환경평가보고서2024.09.291. 문제 선정 및 배경 1.1. 간호관리문제 분석 간호관리문제 분석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이 도출되었다. 간호사는 EMR을 열람한 뒤 로그아웃을 하지 않아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관리 인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환자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교육에도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 환자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지침이 마련되어 있으나 간호사들의 인식이 결여되어 있다. 인력부족으로 인한 업무과중에 따라 시간이 부족하여 개인정보보호가 미비한 상황이다. 인쇄물을 사용하여 I/O check, 인수인계를 진행함으로 내용이 유출될 위험이 있다....2024.09.29
-
사생활의 자유2024.10.311. 사생활의 자유 1.1. 사생활의 의미와 개념 사생활의 의미와 개념은 다음과 같다. 헌법 제17조에서 이야기하는 '사생활'은 주로 비밀이나 내밀한 사적인 영역을 의미한다. 헌법이 보장하는 사생활의 핵심은 비밀스럽다는 것이다. 개인과 관계되는 정보, 그 중에서도 특히 개인이 타인에게 알리고 싶어 하지 않아서 은밀하게 감추는 정보를 의미한다. 자신의 이름, 성별, 나이, 주소, 학력, 재산 상태, 취미나 특기 등이 원칙적으로 사생활에 해당한다. 특히 당사자가 그것을 드러내기를 꺼린다면 더욱 그러하다. 한편, 유명인사의 사생...2024.10.31
-
개인정보침해2024.10.301. 개인정보 침해와 보호 1.1. 개인정보의 개념 및 중요성 1.1.1. 개인정보의 정의 개인정보는 개인에 관한 정보 가운데 직ㆍ간접적으로 각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가리킨다. 그래서 식별 가능성이 없는 정보는 개인정보로 보지 않는다. 정보보호법상 개인이라 함은 특정될 수 있는 자연인을 의미한다. 따라서 법인이나 단체에 대한 정보는 개인정보가 될 수 없으며, 해당정보의 주체가 특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즉, 어떤 정보가 집단에 속한 사람들에 관한 정보이기는 하나 특정한 개인에 대한 정보라고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개인정보가...2024.10.30
-
개인의료정보 윤리2024.10.181. 윤리적 책임감으로부터 시작되는 개인의료정보보호 1.1. 서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의료분야에서는 의료정보의 전산화로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환자의 편익향상에는 이바지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정보의 공유도가 높아지고 정보의 상업화와 함께 이해관계 집단의 개입으로 개개인의 권리가 침해당함은 물론 환자 의료정보가 악용될 수 있는 소지는 높아졌다. 이에 따라 의료정보의 노출 위험성이 큰 현실에서 의료계는 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의료정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각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2024.10.18
-
보이스피싱 사과문2024.11.191. 개인정보 유출 사례와 대책 1.1. 개인정보 유출 피해사례 1.1.1. 네이트·싸이월드 해킹사건 대형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인 SK커뮤니케이션즈가 운영하는 포털사이트 네이트와 싸이월드 회원 약 3,500만 명의 개인정보가 해킹을 통해 유출된 것이다. 2011년 7월 26일 발생한 이 사건은 국내 최대 규모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이번 해킹 사건으로 유출된 개인정보에는 암호화되지 않은 ID,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와 암호화된 비밀번호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보이스 피싱 및 스팸 메일 등 2차...2024.11.19
-
부천순천향대 소화기내과2024.12.091. 병원 소개 1.1. 병원의 역사 순천향대학교병원은 1974년 성실, 봉사, 연구의 원훈 아래 하늘의 뜻을 받들어 인술을 펼쳐가는 고향마을을 만들어 가겠다는 인간사랑, 환자사랑의 순천향(天) 정신으로 개원했다"" 우리나라 의료법인 1호이다. 개원 당시 국내 의료기관들의 시설환경이 열악했던 상황에서 다른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들이 놀라움을 표시할 정도로 최신식 시설과 장비를 갖춰 국내 병원의 고급화 및 현대화에 불을 당기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설립자인 故 향설 서석조 박사(1921-1999)는 우리나라 신경과학 발전의 ...2024.12.09
-
프리카스에 대해 알아본후2024.11.171. 디지털 기술과 개인정보 보호 1.1. 빅 데이터와 범죄 예측 시스템 1.1.1. 프리카스(Pre-CAS)의 개념과 작동 원리 프리카스(Pre-CAS)는 빅 데이터 기반의 범죄 예측 및 분석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치안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를 통합하여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지역별 범죄 위험도와 범죄 발생 건수를 예측하고, 효과적인 순찰 경로를 안내한다. 프리카스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카스는 112 신고 건수, 유흥시설 수, 교통사고 건수, 경찰관 숫자 등의 치안 데이터와 해당 지역 인구수, 날...2024.11.17
-
의료 빅데이터 분석2024.12.141. 서론 현대사회에서 각 개인들은 본인이 의식을 하든 못하든 많은 흔적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우리들이 사용하는 카드내역이나 모바일 폰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모두 빅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기록으로 데이터화된 것들이 모두 빅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즉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우리는 이미 빅데이터 세상에 살고 있다. 빅데이터라고 하면 언뜻 '많은 양의 데이터'라고 단순히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데이터의 다양성이 기존의 데이터와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빅데이터의 정의를 보...2024.12.14
-
의료 빅데이터 분석2024.12.141. 의료분야 빅데이터 활용 사례 분석 1.1. 서론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이 빅데이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현대사회에서 각 개인들은 본인이 의식을 하든 못하든 많은 흔적들을 만들어 낸다. 우리들이 사용하는 카드내역이나 모바일 폰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소셜미디어에 올리는 콘텐츠, 온라인 활동 등 모든 디지털 행적들이 데이터화되고 있다. 이처럼 기록으로 데이터화된 것들이 모두 빅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즉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우리는 이미 빅데이터 세상에 살고 있다. 빅데이터는 단순히 '많은 양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202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