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질병에관한 간단한서평2024.09.221.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 1.1. 무엇이 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가? 1938년 윌리엄 T 그랜트의 후원으로 알리 복 박사가 시작한 하버드 종단연구는 1930년대 말 입학한 268명의 신체적, 심리적으로 건강한 남학생의 삶을 72년간 추적한 세계 최장기 성인발달 연구이다. 이후 1967년에 조지 베일런트가 이 연구를 이어받았다. 이 연구를 통해 베일런트는 행복한 삶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냈다. 그에 따르면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결정하는 첫째 조건은 고통에 대처하는 "건강한 방어기제"였다. 둘째로는 교육, 안...2024.09.22
-
충북대2024.12.011. 자아정체성 1.1. 자아정체성의 개념과 중요성 자아정체성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갖는 주관적이고 지속적인 의식으로, 개인이 자신을 인지하고 타인과 구분 짓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개인의 행동과 태도, 가치관 및 신념체계 등 다양한 차원에서 작용하며, 개인의 심리적, 사회적 적응과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자아정체성의 개념은 아동기부터 성인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달하며, 개인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며 형성된다. 개인은 자신의 고유한 특성과 경험, 역할 등을 통해 자신을 인지하고 정의하...2024.12.01
-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 오.(15점 만점) 2.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을 논하시오. (15점 만점2024.10.131. 서론 가드너(Howard Gardner)는 전통적인 지능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간의 지능이 단일한 능력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발현된다는 점을 강조한 다중지능 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IQ 테스트나 학교 교육이 지나치게 언어적, 논리-수학적 지능에 의존하는 문제를 지적하며, 인간의 다양한 지적 능력을 이해하고 존중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 이론은 교육 현장에서 개인 맞춤형 학습과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제안하며 혁신적인 접근으로 평가받고 있다. 2. 가드너(Gardn...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