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감염관리 위험평가 개선활동2024.09.171. 감염관리 위험평가 개선 활동 1.1. 개선 활동 추진 배경 0000년 감염관리 위험 평가 현황에 따르면, 00년도에 실시한 감염관리 위험 평가 결과 손위생 수행률, 다제내성균 원내 전파 위험, 부적절한 환경 관리 등이 "높은 위험"으로 선정되었다"는 것이다. 먼저 손위생 수행률의 경우, 00년도 수행률이 75%로 4주기 인증 기준 90%에 크게 미치지 못하여 교차 감염 위험과 환자 안전 저하의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제내성균 원내 전파 위험의 경우, 00년도 발생건수가 CRE 1건, MRSA 2건으로 원내 ...2024.09.17
-
마스크 간호관리2024.09.191. 문제 선정 및 배경 1.1. 마스크 착용의 중요성 현재 시점에서 마스크 착용은 개인을 보호하는 가장 효과적인 예방 수단이다. 마스크를 착용하면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85% 감소하고,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감염 가능성이 5배 이상 높아진다. 마스크 착용을 통한 추가 감염 예방 사례로, 확진자가 7일간 입원하며 접촉했던 병원 의료진 17명이 전원 음성 판정을 받은 사례와, 확진자가 28명 발생했던 카페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종사자들이 전원 음성 판정을 받은 사례가 있다. 이처럼 저비용으로 고효율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202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