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안전 공적조서2024.10.081. 교육 공무원의 학생 안전 관리 활동 1.1. 학생 등하교 및 교통 안전 관리 학생 등하교 및 교통 안전 관리는 교육 공무원의 중요한 안전 관리 활동이다. 교사 OOO는 매일 아침 7시 30분에 출근하여 등교 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안전한 등교와 교통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특히 개인형 이동장치 사용 금지, 미성년자 무면허 운전 예방, 자전거 안전교육 등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매월 4일을 "안전 점검의 날"로 운영하여 학생들의 안전한 등하교와 학교생활을 위한 교육과 점검을 정기적으...2024.10.08
-
관심있는 응급및재난 이슈2024.11.061. 응급 및 재난 간호 이슈 1.1. 이태원 참사 생존자 관리 이태원 참사 생존자 관리는 이러한 비극적 사건과 관련된 생존자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생존자들은 자신이 혼자 살아남은 것에 대한 죄책감과 극도의 불안감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간호사는 이들의 불안 양상을 사정하고 평가하여 적절한 간호 계획을 수립하였다. 불안에 대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과 신체적, 심리적 징후를 관찰하고 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와 상호작용하며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자극이 적은 환경을 ...2024.11.06
-
의료법 위반 사례2024.11.031. 의료법 위반 사례 1.1. 제주 서 응급구조사 코로나 백신 주사 사례 제주 서 응급구조사 코로나 백신 주사 사례는 의료법 위반 사례에 해당한다. 2021년 4월부터 6월까지 2달 동안 응급구조사 B씨가 1,903차례나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을 직접 주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지시한 제주시내 한의원 원장 A씨도 이 사건에 연루되었다. 의료법상 코로나 백신 주사는 의료인만 가능하며, 주사가 가능한 의료인은 의사나 간호사, 의사의 지시·관리·감독을 받는 간호조무사 등이다. 하지만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에 따라...2024.11.03
-
코로나예방2024.09.051. 코로나19 개요 1.1. 코로나19 정의 및 발생 경위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이 신종 바이러스는 2019년 말 처음 인체 감염이 확인됐다는 의미에서 '코로나-19'로 명명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단백질과 핵산(DNA나 RNA와 같은 유전물질)으로 이루어진 생물과 무생물 중간 형태의 미생물로, 스스로 물질대사를 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동식물이나 미생물의 살아있는 세포에 기...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