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감염관리교육2024.10.281. 감염관리 교육 1.1. 감염관리 교육 계획서 1.1.1. 교육 개요 교육 개요는 교육의 필요성, 목적, 대상, 일정 등 전반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감염관리 교육의 필요성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이 현재 큰 문제가 되고 있고, 개인 위생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는 사람이 많지만, 중장년 이상의 계층에게 특별히 손 씻기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들은 개인위생에 대한 문제점을 정확히 인식하지 않고 있으며 자녀들이 알려주려고 해도 잘 듣지 않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이라는 형태로 학습을 받을 필...2024.10.28
-
감염관리 교육일지2025.03.131. 서론 1.1. 의료관련 감염의 정의 및 특성 의료관련 감염이란 원내감염(병원감염, nosocomial 또는 hospital infection)이며 입원 시에는 감염도 잠복도 되지 않았으나 병원이나 의료 시설에서 감염되는 것이다. 또한 병원에서 감염되었으나 퇴원 후에 발병한 것도 포함하며 대부분 입원 48시간 후에 감염 소견을 나타낸다. 주로 의료행위가 이루어지는 곳에서 발생하며 병원, 가정간호, 재활센터, 의원 등 모든 곳에서 발생이 가능하며 감염성 질환의 특성상 환자뿐만 아니라 환자를 돌보는 의료종사자, 가족, 간병인 등에...2025.03.13
-
감염관리교육2024.10.181. 서론 1.1. 의료관련 감염의 개념 의료관련 감염이란 "병원, 요양시설, 외래 진료소 등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감염"을 의미한다. 이는 환자가 병원에 들어올 때는 감염이 되어 있지 않았으나 입원 도중 발생한 감염으로, 대부분 입원 48시간 이후에 발생한다. 의료기관 내 다양한 의료행위와 절차 중에 발생하며,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 및 보호자 등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의료관련 감염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감염경로로는 의료진의 손 접촉, 의...2024.10.18
-
감염병관련영화2024.10.041. 감염병 개요 및 관리 1.1. 감염병의 개념과 종류 "감염병이란 제1급감염병, 제2급감염병, 제3급감염병, 제4급감염병, 제5급감염병, 기생충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人獸)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을 말한다."" 감염병은 크게 제1급부터 제5급까지 총 5개의 등급으로 분류되며, 기생충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감염병들이 존재하며, 각각의 특성과 위험도에 따라...202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