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유치도뇨관 관리를 통한 감염 예방활동2024.09.131. 서론 우리나라의 병원감염률은 5~10% 정도의 추정치에서 신체 부위 중 요로감염이 가장 많다고 알려져 있다"" 카테터를 이용한 도뇨는 환자 관리에 있어 침습적이나, 여러가지 상황에서 흔히 사용하는 술기이며, 입원환자의 12~16%가 도뇨관 삽관을 요한다고 한다"" 이 중 15~20%가 요로감염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요로감염은 의료관련감염의 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80%정도가 도뇨관 삽관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일시적인 요정체 환자에게는 카테터를 이용한 간헐적 도뇨가 사용되고, 입원환자 15~2...2024.09.13
-
감염관리 사례와 대처방안2024.10.031. 서론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의 유행,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으로 인한 국내 의료기관의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 종합병원 중환자실의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의 유행과 2018년 1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집단 사망한 신생아들의 사인으로 추정되는 의료관련감염 과 관련한 문제 등 감염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감염관리에 대한 병원의 책임과 역할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현재 국...2024.10.03
-
의료기관 감염관리 문제2024.11.231. 의료기관 감염관리 체계 1.1. 감염관리 규정 1.1.1. 기본 원칙 감염의 예방과 관리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의료기관에 적합한 감염관리 조직과 체계를 갖추고, 감염관리 책임자는 감염전파의 위험을 파악하고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해야 한다. 감염관리 조직과 구성은 병원의 규모와 진료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감염관리에 대한 운영원칙은 다르지 않다. 의료기관의 장은 감염관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반적인 책임을 지며, 의료기관의 모든 직원은 환자와 직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202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