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수술실 환경 관리 체크리스트2024.10.071. 감염 예방 및 관리 1.1. 손위생 손위생은 의료기관에서 감염예방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손위생을 통해 병원감염의 약 40%를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올바른 손위생 수행을 위해서는 손위생 자원 확보, 모니터링, 증진활동 등이 필요하다. 먼저 손위생 자원 확보를 위해 손소독제와 물비누 등 손위생 용품을 충분히 비치해야 한다. 손소독제는 객실, 처치실, 간호사실 등 환자 진료 및 처치가 이루어지는 구역에 고르게 비치하며, 손소독제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량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또한 손위생 ...2024.10.07
-
감염관리 사례와 대처방안2024.10.031. 서론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의 유행,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으로 인한 국내 의료기관의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 종합병원 중환자실의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의 유행과 2018년 1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집단 사망한 신생아들의 사인으로 추정되는 의료관련감염 과 관련한 문제 등 감염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감염관리에 대한 병원의 책임과 역할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현재 국...2024.10.03
-
다제내성균의 기초 이해2024.09.101. 국내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현황 분석 1.1. 국내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체계 국내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체계는 1992년 병원감염관리준칙 도입, 2003년 의료법 개정, 2004년 의료기관 평가 및 2010년 의료기관 인증제도 도입, 전국 병원감염감시체계 구축 및 운영 등을 통해 꾸준히 발전해왔다. 2012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감염관리위원회와 감염관리실을 설치·운영해야 하는 의료기관의 규모가 300병상의 종합병원에서 200병상 이상의 병원 및 종합병원으로 확대되었으며, 감염관리실 업무가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되었다. 이에 따라 ...2024.09.10
-
중앙공급실2024.10.201. 중앙공급실의 역할과 감염관리 1.1. 중앙공급실의 기능과 업무 중앙공급실은 환자의 안전과 치료 및 감염예방을 위해 병원 내 모든 부서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적절하게 멸균처리하며 멸균 또는 비멸균 물품과 장비를 통제하고 처리, 공급을 담당하는 부서이다. 중앙공급실의 기능과 업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각종 평가 및 인증기준을 준수하는 세척과 멸균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환자에게 안전한 환경이 되도록 계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직원들의 지속적인 교육과 질 관리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2024.10.20
-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예방 관리2024.12.041. 요로감염 관리 1.1. 요로감염의 정의 및 분류 요로감염은 일반적으로 요도구, 요관, 방광, 신장을 포함한 요로계에 세균이나 진균이 침범하여 발생한 감염을 말한다. 요로감염은 임상적으로 신우신염, 방광염, 무증상 세균뇨로 구분할 수 있다. 무증상 세균뇨(asymptomatic bacteriuria) 또는 무증상 요로감염이란 증상이나 징후 없이 적절하게 채취된 요검체에서 의미 있는 양의 세균이 동정된 경우를 말한다. 보통 소변 배양 검사에서 두 종류 이하의 균이 105 CFU/mL 이상 분리된 경우를 말한다. 급성 단순 요...2024.12.04
-
병원감염관리 사례2024.09.021. 병원감염의 정의와 특징 1.1. 병원감염의 정의 병원감염이란 "입원 당시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또는 외과 수술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병원감염은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각 조직 및 기관에 상재하는 정상균무리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을 의미하며, 외인성 감염은 외부로부터 미생물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즉, 요로 또는 정맥 카테터, 기타 침습적 시술이나 외과적 수술과정에서 감염되는 경우를 외인성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