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교단별 장로의 직무2025.04.011. 교단별 장로의 직무 장로의 직무는 성경에 근거하여 교회의 교도권과 치리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먼저 신약 성경에서 장로의 직무는 가르치는 일과 다스리는 일이다. 디모데전서 5장 17절에 따르면 '말씀과 교훈에 수고하는 장로들'이 특별히 존경과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되어 있다. 이를 통해 장로의 주된 직무가 말씀 선포와 가르침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사도행전 20장 28절에 따르면 장로들은 성령이 그들을 삼아 하나님의 교회의 감독들이 되어 양무리를 치도록 해야 한다. 즉 장로들은 교회를 감독하고 다스리는 권한과 의무가 있다. ...2025.04.01
-
교단별 장로교회사2025.04.011. 서론 장로교회사를 알아야 할 이유는 세 가지이다. 첫째, 장로교회가 성경적인 교회 정치 제도이기 때문이다. 둘째, 현대 교단들이 정체성을 잃어버린 상황에서 장로교회사를 연구하면 참된 장로교회의 모습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장로교회사는 교회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부터 장로교회는 많은 교육 기관과 구제 사업을 통해 교육과 선교에 앞장서왔다. 한국에도 100년 만에 많은 부흥을 이루었고 많은 목회자들을 배출해왔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 교회에 들어온 장로교회의 역사와 정체성을 연구하...2025.04.01
-
장로교회사2025.05.311. 장로교회사 1.1. 초대교회와 장로정치 초대교회에서는 장로정치 형태가 나타났다. 교회는 모세 때부터 존재하였으며 이를 "광야 교회"라고 불렀는데, 이 교회는 신약교회의 모형이었다. 구약시대의 교회정치 사상은 신약시대 교회정치의 모델이 되었다. 장로정치의 구약적 배경은 족장 정치에서 발전한 것으로, 이스라엘 공동체를 이끄는 정치체계였다. 구약교회의 장로는 성전 사역이나 성막 봉사, 제사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 회중을 다스리는 역할을 하였다. 구약교회는 회중으로부터 권위가 나오고 평등과 자율을 실시하는 상향적 장로정치를 유지하...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