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뇌졸중 합병증2024.10.311. 뇌졸중 1.1. 정의 및 발생 기전 뇌졸중은 색전, 진행성 혈전에 의해 뇌혈관이 폐색되거나 뇌혈관에 출혈이 발생했을 때 유발되는 질환이다. 뇌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류 공급으로 뇌세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CO₂와 대사산물을 제거해야 한다. 하지만 뇌의 혈류가 감소하면 뇌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되어 뇌졸중이 발생한다. 한 동맥이 손상되면 그 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는 뇌조직에 허혈 현상이 나타나 뇌기능이 손상되는 것이다. 허혈은 뇌에 저산소증, 무산소증, 저혈당증을 초래하여 허혈된 부위의 신경원...2024.10.31
-
신경병증2024.08.151. 서론 1.1. 질병 개요 및 연구의 필요성 추간판 탈출증은 척수에서 나뉘는 말초신경 줄기 중에서 척수 접합부를 신경근이라고 하는데, 이 신경근은 얇은 막으로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등에 의해 쉽게 압박된다. 이러한 신경근이 만성적으로 손상 받으면 통증을 유발하게 되며, 이를 신경근 병증이라고 한다. 추간판의 손상 및 탈출로 인해 염증이 생긴 신경근에 기계적 압박이 추가되어 요추부 축성 통증 및 신경근 자극 증상이 유발된다. 대부분의 추간판 탈출증은 요추의 제일 아래에 있는 두 개의 디스크에서 일어나며, 밀려나오는 형태에...2024.08.15
-
편마비2024.08.291. 편마비의 정의 1.1. 편마비의 개념 편마비(hemiplegia)의 개념은 한쪽 팔, 다리의 마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편측(한쪽)의 상하지 또는 얼굴부분의 근력저하가 나타난 상태를 말한다. 이때 근력저하는 좌측이나 우측 중 한쪽에서만 일어나야 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 팔과 오른쪽 다리의 근력이 저하되었을 경우나 양측 하지의 근력이 저하되었을 경우에는 편측마비라고 부르지 않는다. 즉, 편마비는 한쪽 팔과 다리의 마비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1.2. 편마비의 특징 좌측 편마비 환자의 경우 우측 대뇌피질의 손상으로 인해 좌측을 ...2024.08.29
-
Lateral medullary syndrome2024.09.051. 서론 1.1. 뇌졸중의 개요 뇌졸중은 뇌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일어나는 뇌조직의 손상으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 장애를 의미한다. 뇌졸중은 발병 원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출혈성 뇌졸중이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동맥경화증이나 혈액 응고 장애 등으로 인해 막히면서 나타나는데, 이 경우 뇌세포에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차단되어 뇌조직이 손상되게 된다.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뇌조직으로...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