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혈당 상승의 병리학적 기전2024.09.221. 내분비계 1.1.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내분비계는 모든 신체계통과 연관되어 생리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는 상호전달체계이다. 외분비샘은 관 또는 직접 장관이나 피부에 효소나 분비물을 내보내는 반면, 내분비샘은 호르몬을 직접 혈류로 분비하는 체계이다. 내분비계는 샘과 샘 조직, 표적기관 또는 수용체로 구성되며, 주요 내분비샘에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갑상샘, 부갑상샘, 부신, 이자의 랑게르한스섬, 생식샘 등이 있다. 내분비샘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은 혈류를 따라 이동하여 표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기관의 기능을 자극하거나 억제...2024.09.22
-
생리학 노트정리2024.12.011. 심장과 혈관계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 구조 심장은 전신순환계와 폐순환계를 포함하는 폐쇄순환계의 중심기관으로, 심방과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방은 혈액을 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심실은 혈액을 높은 압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심장은 크게 네 개의 방(chamber)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상부 방이 심방이고, 두 개의 하부 방이 심실이다. 심방과 심실 사이에는 삼첨판막(우심방과 우심실 사이)과 승모판막(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이 있다. 이 판막들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2024.12.01
-
Pheochromocytoma2024.08.3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갈색세포종은 사람들에게 흔히 알려진 질병은 아니지만, 이 질환도 종양에 포함이 되기 때문에 악성 종양일 경우에는 예후가 매우 좋지 못하다." 심지어 원인도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기 때문에 사람들이 관심을 갖기에는 부족할 수도 있지만, 그만큼 이 질환을 연구하면서 배울 수 있는 점도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2021년 2월 2일부터 2월 10일까지 갈색세포종이 의심되어 우측 부신 절제술을 시행한 강○○님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갈색세포종은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2024.08.30
-
성인 갈색세포종2024.08.301. 개요 1.1. 환자 정보 환자의 성명은 ㅇ ㅇ ㅇ이며, 연령은 20세이고 성별은 여성이다. 신장은 161cm, 체중은 58kg, 체질량지수는 22.38kg/m2이다. 내원 당시 휠체어를 타고 왔다. 진단명은 갈색세포종이다. 과거력과 가족력에는 특이 사항이 없다. 입원 동기는 2주 전 아침에 발생한 지속되는 좌측 흉통과 구역, 구토를 동반한 두통으로 인한 것이다. 혈액 검사, 24시간 소변 검사, 영상 검사 결과 좌측 부신에 4cm 크기의 종양이 발견되어 2주간의 혈압 치료 후 복강경 하 좌측 부신 절제술을 시행하기 위해 입원...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