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연세대학교연합신학대학원2024.10.201. 사도 바울의 삶과 신학 1.1. 저자 소개 저자 이종원 교수는 현재 숭실대학교 겸임교수로 베어드학부대학에서 기독교 교양과목과 기독교학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는 현직 교수이다. 그는 숭실대학교 철학과, 장로회신학대학원,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수학한 후 기독교윤리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기독교 생명윤리' 외에도 '성서다시보기(공저, 숭실대학교 출판부)', '기독교 윤리로 보는 현대사회(북코리아)' 역서로는 '히포크라테스와 생명윤리(북코리아)' 등이 있다. 1.2. 바울과 예루살렘 공의회, 그리고 안디옥 사건 바...2024.10.20
-
갈라디아서2024.10.171. 갈라디아서 개요 1.1. 기록자 및 연대 바울은 본 서신서 처음 부분에서 자신이 기록자임을 명백하게 밝히고 있다(1:1). 일부 자유주의자를 제외하고는 학자들 간에 거의 이견이 없으며, 본 서신의 문체, 어휘, 신학이 바울의 것임을 확증한다. 본 서신의 내용은 로마서의 축약, 또는 작은 로마서라고 불릴 만큼 로마서를 닮았지만, 언어 표현이 로마서보다 신랄한 것은 교회에 침투한 거짓 선생들의 가르침에 대처하기 위해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AD 50년대 초에 바울이 제2차 선교여행을 하는 중 1년 6...2024.10.17
-
로마서 3장 설교2024.11.121. 바울서신의 이해 1.1. 바울서신의 개관 바울서신의 개관은 다음과 같다. 바울서신은 여러 교회가 처해 있는 상황에 맞추어 성도들을 교훈하고 교회를 말씀위에 바로 세우기 위하여 기록한 상황서신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바울은 기독교의 근본 원리와 예수님의 사역에 대한 해석을 제시함과 동시에 신자들이 바른 생활을 하도록 격려하는 이중 목표를 가지고 서신을 기록했다. 따라서 바울의 서신은 특수한 상황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그가 받은 복음의 구체적 해석이자 적용이라는 점에서 통일성과 일관성이 있다. 바울 서신 연구자가 바울 서신을...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