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내가좋아하는간호사김요은2024.09.161. 간호관리학 실습 1.1. 기획단계의 간호관리 업무 1.1.1. 실습기관의 비전, 목적, 철학, 목표 실습기관의 비전, 목적, 철학, 목표는 다음과 같다. 실습기관의 미션은 "앞선 의학, 따뜻한 마음"으로 "앞선 의학으로 환자와 세상에 희망을 주고 인간존중의 따뜻한 마음으로 세상을 치유하고 보다 건강하게 한다"는 것이다. 실습기관의 비전은 "세상에 행복을 더하는 혁신"으로 "직원, 환자, 사회를 행복하게 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혁신병원"이 되는 것이다. 실습기관의 코어밸류는 "Do the BEST, dream, owne...2024.09.16
-
간호업무성과지표2024.09.201. 간호부서 QI 활동 1.1. 간호의 질 향상 활동의 필요성 간호의 질 향상 활동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전문직으로서 간호는 높은 수준의 질적 간호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간호영역에서 간호의 질 향상에 관심을 갖고, 안전하고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병원의 여러 분야에 모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간호사는 전문직으로서 그 활동에 책임을 지며 간호의 성과를 평가할 책임을 갖고 있다. 질 평가는 간호중재의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표준에 맞추어 대상자에게 높은 수준의 간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과학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2024.09.20
-
안전간호보고서2024.09.251.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에 대한 문헌고찰 1.1. 필요성, 중요성, 원리, 원칙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계기는 1999년 미국의학협회(Institute of Medicine)에서 발표한 보고서(To Err is Human)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의료 오류로 인해 병원에서 매년 44,000명에서 98,000명의 사람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의료오류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세계보건총회에서 환자안전을 보건의료의 핵심 선결문제로 삼고 모든 회원국들에게 환...2024.09.25
-
병원 컴플레인대처 경험2024.10.061. 서론 지금까지 여러 병원에서 실습하면서 수간호사 선생님이 리더십을 발휘하는 모습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번에 성인간호학 내분비계 부분을 학습하며 내분비내과의 수간호사로서 내분비내과 병동에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사례와 그 사례에서 발휘할 수 있는 어떤 리더십이 있는지 생각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간호단위의 관리자로서 어떠한 리더십이 필요한지 학습하고 임상에서 훌륭한 간호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 생각해보고자 한다." 2. 간호단위 관리자의 리더십 2.1. 내분비내과 병동의 상황 내분비내과 병동은 팀 ...2024.10.06
-
간호관리 예시2024.10.011. 간호문제 보고 방식 1.1. SBAR 형식 보고 SBAR 형식 보고는 간호사가 환자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고하기 위한 방법이다. SBAR는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의 약자로, 이를 순서대로 작성하여 의사소통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상황(Situation)에서는 간단히 보고자의 소속과 환자 정보, 발생한 문제 상황을 기술한다. 배경(Background)에서는 환자의 진단명, 입원 경과, 치료 내용 등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사정(Assessmen...2024.10.01
-
중환자실 전문간호사2024.10.231. 중환자실 전문 간호사로서의 비전 1.1. 간호학과와 중환자실 전문 간호사에 관심을 두게 된 계기 졸업 후 내가 간호사로서 병동에서 근무하게 된다면 중환자실에 관해서는 생각해보지 않았었지만, 일반 병동의 간호사가 되고 싶었었다. 전문 간호사의 분야를 조사하게 되면서 그중 중환자실 전문 간호사에 대해 알게 되며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중환자실은 병원 내에서 가장 중증도가 높은 환자가 입원하여 회복 가능성이 있는 환자들을 24시간 체제로 입원 환자들을 위해 다양한 의료기기들도 사용하며 집중적으로 치료간호를 진행하며 운영이 된다는 ...2024.10.23
-
안전문화활동 사례2024.10.271. 간호부서 QI 활동 1.1. 간호의 질 향상 활동의 필요성 전문직으로서 간호는 높은 수준의 질적 간호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간호영역에서 간호의 질 향상에 관심을 갖고, 안전하고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병원의 여러 분야에 모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간호사는 전문직으로서 그 활동에 책임을 지며 간호의 성과를 평가할 책임을 갖고 있다. 질 평가는 간호중재의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표준에 맞추어 대상자에게 높은 수준의 간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과학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대상자들 역시 건강에 대한 관심과 환자...2024.10.27
-
간호관리과정2024.11.201. 전반적 관리현황 1.1. 병동의 물리적 구조 3병동은 신경과, 재활의학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72병상(22병실)으로 구성되어 있다. 병동 내에는 간호사실, 준비실, 치료실, 리넨실, 오물실 등의 다양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간호사실은 3층 엘리베이터 정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입원환자를 관리하고 다른 의료진과 소통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준비실은 간호사실 중앙 뒤쪽에 위치하며, 입원환자의 주사와 경구약을 준비할 수 있는 공간이다. 치료실은 간호사실 오른쪽에 위치하며, 입원환자 중 상태가 악화되거나 응급환자가 발생하...2024.11.20
-
안전과질향상2024.12.011.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에 대한 문헌 고찰 1.1. 필요성과 중요성 현재 의료시스템은 의료 제공에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들이 상호의존적으로 설계된 복합적인 구조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조직구조는 환자의 건강 문제 해결이라는 공동목표를 향해 유기적인 체계로 통합, 조정되어 운영될수록 환자가 받는 서비스는 안전하고 질적으로 되기 쉽다. Institute of Medicine(이하 IOM)은 안전과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보건 의료인들은 새로운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고 건강 관련 전문가들이 가져야 할 역량으로 환자 중심간호, 팀워...2024.12.01
-
간호관리 간호과정2024.10.171. 간호단위 특성 분석 1.1. 병동 환경 및 시설 현황 61병동의 병동 환경 및 시설 현황을 살펴보면, 병동은 총 42병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병동은 A팀과 B팀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팀은 21병상씩 운영되고 있다. 병동 중앙에 간호사 스테이션이 위치해 있고, 각 팀의 간호사 스테이션은 병동 오른쪽과 왼쪽에 위치해 있다. 병동에는 간호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와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infusion pump 1개, medication cart 2개, emergency cart 2개, 마약품 금고 1개, 폴대...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