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교육전담의 성과지표2024.09.161. 간호교육팀 부서 운영 계획 1.1. 부서 사업 비젼 및 전략 간호교육팀 부서는 임상 현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하도록 도와주는 간호 교육을 통해 병원 조직의 장기적 성과 향상에 기여하고 근거 기반 간호로 자율성과 전문성을 발휘하는 간호사로 양성하는 것이 부서의 비전이다. 팀은 이러한 비전 달성을 위해 근거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멘토링 시스템 구축이라는 두 가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근거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교육 자료 관리 및 업데이트, 지속적인 교육 및 실습 지원 등의 활동...2024.09.16
-
코로나19와 수간호사 리더십2024.10.011. 서론 정은경 前 질병관리청장은 오랜 기간 보건의료계에 종사하며 전문가로서뿐만 아니라 리더로서도 인정받은 인물이다. 2017년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질병관리본부장에 올랐고, 2020년 9월부터는 우리나라 초대 질병관리청장을 맡아 역할을 다하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으로 전 세계가 위기에 처했을 때 뛰어난 코로나19 방역으로 우리나라의 방역을 책임지며 세계의 모범이 되었다. 이에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중 '리더스' 부문에 선정됐을 뿐만 아니라 BBC가 선정한 '올해의 여...2024.10.01
-
ADL차팅2024.12.141. 불충분한 질적 간호 1.1. 문제 상황 확인 1.1.1. 간호사의 활력징후 측정 프로토콜 미준수 간호사의 활력징후 측정 프로토콜 미준수는 간호의 질적 수준 저하의 주요 원인이다. 신규간호사 A는 프로토콜에 따라 정확한 활력징후 측정을 하고 있었지만, 선임간호사 B는 간편성과 빨리 퇴근하기 위해 체온측정을 피부 촉지로만 하고 호흡 수 측정도 생략하는 등 편법을 강요하였다. 이에 신규간호사 A는 혼란을 느끼게 되었다. 병동 간호사들은 자신의 편의를 위해 혈압 측정 시 청진기를 사용하지 않고 맥박 촉지로만 하는 등 활력징후 ...2024.12.14
-
엔클렉스2024.09.021. 간호사의 활동 영역 1.1. 침상 간호(Bedside Nursing) 침상 간호(Bedside Nursing)는 환자의 상태가 불가피하게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임상 간호사가 환자의 감정적인 요구가 충족될 수 있도록, 또 보살핌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신체적, 정신적 요구를 사정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환자가 통증이나 불편감을 호소하면 이를 신속하게 해결해 주어야 하며, 불안이나 두려움을 표현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감정을 공감하고 지지해주어야...2024.09.02
-
투석실 QI2025.02.061. 서론 질병으로 인한 만성 신부전 환자들이 지속적인 투석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투석실 간호팀은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질 향상 활동을 계획하였다. 질 향상 활동의 필요성은 환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부담이 큰 상황에서 전문적이고 전인적인 간호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장시간 투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의 위험성도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간호적, 환경적, 대상자적 측면에서의 활동을 통해 환자 안전과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 이번 질 향상 활동의 목적이다. 2. 투석실 QI...2025.02.06
-
간호교육팀 교육 평가 계획 - 교육 간호사2025.02.091. 교육 평가 계획 1.1. 교육 평가 목적 및 대상 간호교육팀은 교육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여 간호사들의 임상 능력 향상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신입 및 재직 간호사들의 교육 만족도를 평가하여 교육 과정의 품질을 높이고자 한다. 교육 평가 대상은 신입간호사(신규/경력)와 재직간호사(전체)이며, 이는 의료법 제41조의 2에 근거한다. 신입간호사의 경우 입사 1개월차와 2개월차에, 재직간호사의 경우 교육 과정 종료 시마다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의 임상 능력 향상과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