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간호간병통합병동 감염관리규정2024.10.04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개요 1.1. 실시 근거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실시 근거는 의료법 제4조의2(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등), 동법 시행규칙 제1조의4(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제공 환자 및 제공기관), 제1조의5(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제공 절차)에 있다"이다. 이에 따르면 의료법에 근거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상기관과 환자, 제공 절차 등이 규정되어 있다. 1.2. 실시 목적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실시 목적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이하 '사업'이라 한다)을 전국의 ...2024.10.04
-
간호관리 인력부족2024.10.081. 간호인력 부족의 현황과 문제점 1.1. 간호사 수급 불균형 현상 OECD 대비 한국의 간호사 수 연평균 증가율은 5.8%로 OECD 평균 1.2%보다 높고, 인구 십만 명당 간호대 졸업자 수는 OECD 평균 35.7명보다 높은 43.1명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구 천 명당 간호사 수는 3.5명으로 OECD 평균 7.2명보다 두 배 가량 낮으며 OECD 평균 대비 약 4배 이상 업무량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간호사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간호사 수급의 불균형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한국은 간...2024.10.08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 안전관리2025.06.261. 서론 1.1.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많은 의료기관은 간호인력 배치 수준이 낮은 상태로 입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입원 환자 간호에 필요한 적정 간호인력이 투입되지 못함에 따라 간호사의 업무 중 일부분이 보호자에게 전가되고, 간호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보호자가 필요한 경우,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 간호할 사람이 부족함에 따라 입원 환자의 약 20%가 사설간병인을 고용하고 있다. 이러한 간병비용은 환자가족에게 의료비 보다 더 큰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였으며, 환자 개인의 문제를 넘...2025.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