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소화기 내시경 간호2024.10.151. 용어 및 약어 1.1. 용어 용어 AGC는 'Advanced Gastric Cancer'의 약어로, 진행성 위암을 의미한다. AGE는 'Acute Gastric Enteritis'의 약어로, 급성 위장염을 나타낸다. BCC는 'Basal Cell Cancer'의 약어로, 기저세포암종을 의미한다. CBD는 'Common Bile Duct'의 약어로, 총담관을 나타낸다. CPR은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의 약어로, 심폐소생술을 뜻한다. DNR은 'Do Not Resuscitation'의 약어로...2024.10.15
-
한국 폐경 후 여성의 비타민 D 섭취와 우울증2024.09.281. 중년기 질병경험의 영향과 극복방안 1.1. 서론 우리 3조의 과제 주제는 '중년기 질병의 영향과 극복방안'이었다.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회의한 결과 중년기의 대표적인 질병에 초점을 두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서론에서는 중년기 질병의 의의와 중요성, 그리고 과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년기는 성인기 중 가장 긴 시기로,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질병들은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년기에 흔히 발생하는 질병들은 만성적이거나 진...2024.09.28
-
간염 체액과다2024.11.191. 간경화 1.1. 정의 간경화는 학술적 병명인 '간경변증'의 일반화된 명칭으로, 넓게 퍼진 섬유증과 소결절에 의해 비가역적인 간실질 구조의 변화를 의미한다." 1.2. 원인 간경화의 원인은 만성 B형 간염이 약 70%로 가장 많고, 알코올성 간염, 만성 C형 간염이 그다음으로 많다"" 그 외에도 지방간염, 자가 면역성 간염, 경화성 담관염 및 윌슨병 등의 유전 질환도 간경변을 유발할 수 있다"" 알코올은 그 자체로도 간경변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원인에 의한 만성 간 질환을 빠르게 악화시킨다""B형 간염의 경우, 바이러스...2024.11.19
-
난다 알콜성 간질환2024.11.131. 간경화 Liver Cirrhosis 1.1. 정의 간경화증은 심각한 간의 구조변화와 기능 상실을 초래하는 간조직의 미만성 염증과 섬유화로 특정지어지는 만성 간질환이다. 간경변증의 기본적인 변화는 간세포 파괴와 반흔조직의 재생으로 정상조직이 대체되어 결국 정상 간실질이 섬유조직과 지병에 둘러싸여 결절을 일으킨다. 이런 변화는 기능상실과 구조변형으로 간으로 통하는 혈액과 림프순환을 폐색시키는 원인이 된다. 폐색이 크면 문맥성 고혈압이 나타나며, 비장비대, 식도정맥류, 복수의 원인이 된다. 1.2. 원인 1.2.1. 알코올성 간...2024.11.13
-
성인간호학 간담췌 정리2025.01.051. 간, 담낭, 췌장의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와 기능 1.1.1. 간소엽 간소엽은 간의 기능 단위로, 간의 좌우 각 엽에 약 5~10만 개가 존재한다. 간소엽은 길이가 1~2mm 정도로 아주 가늘고 작은 크기이다. 간소엽은 중심정맥을 축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열된 간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시 모양의 차바퀴 형태를 이룬다. 간소엽 사이의 결체조직을 통해 간정맥, 간동맥, 담관이 지나간다. 중심정맥은 문맥의 가지이며, 간동맥과 함께 간에 혈액을 공급한다. 간에서 생성된 담즙은 간세포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담...2025.01.05
-
문맥순환2024.12.111. 혈액순환계 1.1. 대순환계(Systemic Circulation) 대순환계(Systemic Circulation)는 심장의 좌심실에서 나오는 혈액이 대동맥과 동맥을 거쳐 온몸의 조직과 기관에 있는 모세혈관까지 이르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흡수하여 정맥혈로 되돌아오는 과정이다. 대순환계는 몸순환(체순환)이라고도 불리며, 폐의 동맥과 정맥을 제외한 전체 혈액 순환계를 의미한다. 체순환은 좌심실 수축에 의해 시작되며, 좌심실에서 나온 혈액이 대동맥과 동맥을 따라 전신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이후 모세혈...2024.12.11
-
간담도계2024.10.30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및 병태생리 1.1. 위장관계 구조와 특성 1.1.1.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항문 구강은 저작, 타액분비, 연하기능을 수행한다. 타액은 음식물을 부드럽게 하며 프리알린 효소가 전분을 maltose로 분해한다. 식도는 23~25cm의 근육성 관으로 음식물이 위로 가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할 때 수축과 이완을 하며 식도 중간 부위 근육층에는 점액을 분비하는 샘이 있다. 위는 LUQ에 위치하며 위기저부, 몸체, 유문동으로 구성된다. 위 말단부와 십이지장의 경계부에는 유문조임...2024.10.30
-
임상화학2024.10.311. 혈액검사 1.1. 응고검사 1.1.1. PT(SEC) PT(SEC)는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을 측정하는 검사로, 혈액 응고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초, sec)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외인성 혈액 응고 경로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정상 PT(SEC) 범위는 9.2~12.5초이다. PT(SEC)가 증가한다는 것은 응고 시간이 지연된다는 의미로, 다한, 폐감염증, 화상, 요붕증, 삼투압성 이뇨, 삼투압성 설사, 뇌하수체 질환 등에서 볼 수 있다. 반면 체액의 상실, 간경변, 신부전, 악성종양...2024.10.31
-
진단검사와 관련된 지식부족2024.11.031. 급성 독성 간염 사례연구 1.1. 서론 1.1.1. 연구목적 연구목적은 건국대병원 112병동에서 식품(약물)로 인한 독성간염이 발병한 대상자의 사례연구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및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여 합병증 없이 대상자가 회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1.2. 문헌고찰 간염(hepatitis)은 간의 염증으로 바이러스, 세균, 독성 물질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의 종류에는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D형 간염(delta: 델타 간염), E형 간염, ...2024.11.03
-
간암환자 케이스2024.08.261. 서론 1.1. 간암의 개요 간암은 간세포의 암성 변화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원발성 간암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간암은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간암은 전 세계적으로 다섯 번째로 흔한 암이며, 암 관련 사망 원인 중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간암은 암 발생률과 암 사망률이 모두 높은 편에 속하는 주요 암종 중 하나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간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국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간암의 주된 원인은 B형 및...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