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소화기 내시경 간호2024.10.151. 용어 및 약어 1.1. 용어 용어 AGC는 'Advanced Gastric Cancer'의 약어로, 진행성 위암을 의미한다. AGE는 'Acute Gastric Enteritis'의 약어로, 급성 위장염을 나타낸다. BCC는 'Basal Cell Cancer'의 약어로, 기저세포암종을 의미한다. CBD는 'Common Bile Duct'의 약어로, 총담관을 나타낸다. CPR은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의 약어로, 심폐소생술을 뜻한다. DNR은 'Do Not Resuscitation'의 약어로...2024.10.15
-
난다 알콜성 간질환2024.11.131. 간경화 Liver Cirrhosis 1.1. 정의 간경화증은 심각한 간의 구조변화와 기능 상실을 초래하는 간조직의 미만성 염증과 섬유화로 특정지어지는 만성 간질환이다. 간경변증의 기본적인 변화는 간세포 파괴와 반흔조직의 재생으로 정상조직이 대체되어 결국 정상 간실질이 섬유조직과 지병에 둘러싸여 결절을 일으킨다. 이런 변화는 기능상실과 구조변형으로 간으로 통하는 혈액과 림프순환을 폐색시키는 원인이 된다. 폐색이 크면 문맥성 고혈압이 나타나며, 비장비대, 식도정맥류, 복수의 원인이 된다. 1.2. 원인 1.2.1. 알코올성 간...2024.11.13
-
간성뇌증2025.02.2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성뇌증은 간 기능 장애로 인해 의식이나 행동이 변화하는 질환이다. 간경변증과 같은 만성 간질환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간성뇌증은 흔치 않은 질환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고기나 술을 선호하는 사회에서 간질환 발병률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간성뇌증은 변비, 고단백식사, 수면제 복용 등의 간단한 요인으로도 빠르게 악화될 수 있어 면밀한 관찰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성뇌증의 정의와 발병 기전,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2025.02.26
-
생검2024.08.271. 간생검(Liver Biopsy) 1.1. 정의 간생검(Liver Biopsy)이란 간이 위치한 복벽, 갈비뼈 사이로 바늘을 삽입해서 간조직을 채취하는 것으로 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 간질환의 확진을 위해 시행하거나, 질환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고 치료를 계획하기 위해 시행한다. 또한 간이식을 한 환자, 간염 환자의 치료 후 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기도 한다. 간생검의 종류로는 개방적 간 생검(open liver biopsy)과 폐쇄적 간 생검(closed liver biopsy)이 있으며 개방적 간 생검은 전신마취와 복부...2024.08.27
-
진단검사와 관련된 지식부족2024.11.031. 급성 독성 간염 사례연구 1.1. 서론 1.1.1. 연구목적 연구목적은 건국대병원 112병동에서 식품(약물)로 인한 독성간염이 발병한 대상자의 사례연구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및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여 합병증 없이 대상자가 회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1.2. 문헌고찰 간염(hepatitis)은 간의 염증으로 바이러스, 세균, 독성 물질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의 종류에는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D형 간염(delta: 델타 간염), E형 간염, ...2024.11.03
-
tace2025.03.191. 개요 1.1. 사례 소개 간암 환자인 유ㅇㅇ 씨는 병원에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경과를 관찰 받고 있다. 유ㅇㅇ 씨는 1980년경부터 B형 간염 진단을 받아 지내왔으며, 2007년 8월부터 간경변증이 있었다고 한다. 2010년 4월 간암이 진단되었고, 이후 2번의 TACE 시술을 받았다. 이번 입원은 3번째 TACE 시술을 받기 위한 것이다. 유ㅇㅇ 씨는 간암 진단 후 1년 전부터 금주와 금연을 실천하고 있다. 환자는 자신의 상태를 잘 이해하고 있으며, 의사의 지시를 잘 따르는 편이다. 환자의 가족력에는 고혈압, 당뇨 등의 질환...2025.03.19
-
관상동맥우회술2025.03.2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관상동맥 질환은 선진국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전체 사망의 약 1/3을 차지하는 질병이다. 모든 질환이 그렇듯 관상동맥 질환도 예방이 최선이다. 따라서 관상동맥 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연구하여 문제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간호 진단과 중재를 내려보면서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대상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간호는 무엇인지에 대해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 사례연구보고서 대상자로 관상동맥질환으로 여러 검사를 시행한 후 CABG(관상동맥우회술) 수술을 하게 된 □□님을 ...2025.03.26
-
문맥순환2024.12.111. 혈액순환계 1.1. 대순환계(Systemic Circulation) 대순환계(Systemic Circulation)는 심장의 좌심실에서 나오는 혈액이 대동맥과 동맥을 거쳐 온몸의 조직과 기관에 있는 모세혈관까지 이르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흡수하여 정맥혈로 되돌아오는 과정이다. 대순환계는 몸순환(체순환)이라고도 불리며, 폐의 동맥과 정맥을 제외한 전체 혈액 순환계를 의미한다. 체순환은 좌심실 수축에 의해 시작되며, 좌심실에서 나온 혈액이 대동맥과 동맥을 따라 전신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이후 모세혈...2024.12.11
-
한국 폐경 후 여성의 비타민 D 섭취와 우울증2024.09.281. 중년기 질병경험의 영향과 극복방안 1.1. 서론 우리 3조의 과제 주제는 '중년기 질병의 영향과 극복방안'이었다.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회의한 결과 중년기의 대표적인 질병에 초점을 두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서론에서는 중년기 질병의 의의와 중요성, 그리고 과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년기는 성인기 중 가장 긴 시기로,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질병들은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년기에 흔히 발생하는 질병들은 만성적이거나 진...2024.09.28
-
임상화학2024.10.311. 혈액검사 1.1. 응고검사 1.1.1. PT(SEC) PT(SEC)는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을 측정하는 검사로, 혈액 응고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초, sec)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외인성 혈액 응고 경로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정상 PT(SEC) 범위는 9.2~12.5초이다. PT(SEC)가 증가한다는 것은 응고 시간이 지연된다는 의미로, 다한, 폐감염증, 화상, 요붕증, 삼투압성 이뇨, 삼투압성 설사, 뇌하수체 질환 등에서 볼 수 있다. 반면 체액의 상실, 간경변, 신부전, 악성종양...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