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화학을 이용한 조영제2024.09.021. 자기공명영상(MRI) 1.1. 정의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은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조직에 있는 수소이온의 활동이 자기장에서 달라지는 것에 근거한 것으로써 자기작용과 고주파를 이용하여 신체조직을 컴퓨터 스크린에 단면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즉, MRI는 강한 자기장과 고주파를 이용하여 수소원자핵의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신체 내부의 단면 영상을 만들어내는 의료 영상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1.2. 절차 검사 전에 소변을 보게 하고, 대상자 몸의 모든 금속성 물체(보...2024.09.02
-
성인간호학 간담췌 정리2024.12.111. 간, 담낭, 췌장의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와 기능 1.1.1. 간의 구조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선 장기이며, 정상 성인의 간 무게는 약 1,500g 정도이다. 간은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위치하여 위를 덮고 있다.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나뉘며, 우엽의 후면과 하면은 작은 미상엽과 방형엽으로 되어있다. 간문은 미상엽과 방형엽의 경계부분으로 간으로 출입하는 혈관, 신경, 림프관 등이 지나간다. 간의 기능단위인 간소엽은 간의 좌우 각 엽에 5-10만 개가 있다. 각 간소엽은 길이가 1-2mm 정도의 가늘고 ...2024.12.11
-
소화기계 병태생리2025.03.091.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1.1. 소화기계의 구성 소화기계는 위장관계와 부속기관으로 구성된다. 위장관계에는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항문이 포함되며, 부속기관에는 침샘, 간, 담낭, 췌장이 속한다. 이들 기관은 음식물의 섭취, 소화, 흡수, 대사 및 노폐물 배설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 섭취의 통로이며, 치아를 통한 저작운동과 타액 분비로 소화를 시작한다. 식도는 음식물을 위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며, 위는 소화액 분비, 음식물 저장, 혼합 등의 기능을 한다. 소장에서는 영양분의 대부분...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