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3개
-
혈액·체액 정상범위 및 검사방법2024.09.131. 혈액검사의 임상적 의미 1.1. Hematology 검사 1.1.1. 검사항목과 정상범위, 임상적 의의 WBC(백혈구)는 정상범위가 4.0-10.0 E9/L 이다.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감염증, 출혈, 종양, 조직괴사 등의 병적 상태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우 재생불량성 빈혈, 무과립구증 등을 시사한다. RBC(적혈구)는 정상범위가 4.2-5.7 E9/L 이다. 적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설사, 탈수, 다혈구혈증, 급성 중독, 폐섬유증 등을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우 빈혈, 백혈병, 출혈 등을 시사한다. Hb(...2024.09.13
-
인슐린 분비와 작용의 장애2024.09.221. 당뇨병의 이해 1.1. 당뇨병의 개요 1.1.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은 단순한 질병이 아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대사성 질환이다. 인슐린 분비 혹은 기능장애로 고혈당이 특징적이며 이와 함께 신체기관의 손상과 기능부전을 초래하여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어 사망까지 이르게 될 수도 있는 질환이다. 1.1.2. 당뇨병의 진단 기준 당뇨병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당화혈색소(HbA1c) 6.5% 이상, 공복 시 혈장 혈당 126mg/dL 이상, 75g 경구당부하검사 2시간 후 혈장 혈당 2...2024.09.22
-
간경화 문제2024.09.211. 간경화증 1.1. 간의 기본 기능 1.1.1. 음식물의 대사 간은 다양한 대사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중에서도 음식물의 대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간은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대사에 관여하여 영양분 균형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간은 글리코겐 형태로 포도당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혈류로 내보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아미노산으로부터 포도당을 합성하는 gluconeogenesis 과정을 거쳐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 지질 대사 측면에서 간은 콜레스테...2024.09.21
-
고위험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간호과정2024.10.071.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1.1.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개요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은 출생 직후 신생아의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신생아의 간 기능이 미숙하여 혈중 빌리루빈을 효율적으로 배설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정상적인 경우 생후 2-3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생후 5-7일 사이에 최고치에 도달하며, 이후 점차 감소하여 생후 14일 이내에 사라진다.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은 대부분 생리적인 현상으로 대부분의 신생아에게서 나타나지만, 심하게 진행되면 핵황달이나 뇌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2024.10.07
-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요약 정리2024.10.011.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1.1. 혈액검사 1.1.1. 전 혈구 검사(CBC) 전 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는 혈액 내 다양한 혈구 성분들의 양적 및 질적 정보를 분석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혈액학 검사이다.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 구성 성분들의 수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감염, 빈혈, 백혈병 등 다양한 질병들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된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노화되거나 파괴되면 비장, 간 등에서 제거된다. 적혈구 수(RBC cou...2024.10.01
-
간질환2024.10.281. 간 질환 1.1. 간의 구조와 기능 1.1.1. 간의 해부학적 구조 간의 해부학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선으로 정상 성인의 간의 무게는 약 1500g이며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있고 위를 덮고 있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나뉜다. 우엽의 후면과 하면은 작은 미상엽과 방형엽의 경계부분을 간문이라고 하며 이 공간을 통해 정맥, 동맥, 신경, 림프관 등이 간으로 출입한다. 간소엽은 간의 기능단위로 간의 좌우 각 엽에 5~10만 개가 있으며, 길이가 1~2mm 정도로 작고 가늘다. 간소엽은...2024.10.28
-
HCC 간호진단2024.10.221.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1.1. 간세포암의 정의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은 간세포 자체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간암을 말한다. 간암은 크게 전이성 간암과 간내에서 발생하는 일차성 간암으로 나뉘며, 일차성 간암 중에서도 간세포에서 유래하는 간세포암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간암이라고 할 때 주로 간세포암을 지칭한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담즙을 분비하는 소화기계 장기이다. 간세포삭과 동양혈관이 주된 구성 요소이며, 임상적으로는 간 구역을 더욱...2024.10.22
-
간호관리 CBL2024.10.181. 사례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과정 적용 1.1. 간호현장의 의사결정 사례 ****병원 실습 시 있었던 일이다. 암 센터이며 간호간병통하서비스 병동이다. 병동은 암센터여서 항암치료를 하기 위해 월요일과 금요일이 입?퇴원 환자가 많았다. 그런데 금요일에 한 연차 있는 간호사가 갑자기 부친상으로 당일 연락을 받고 갑작스럽게 출근한지 2시간도 안되어서 퇴원을 하고 내려갔다. 이렇게 한 간호사가 빠지게 되면서 금요일의 퇴원이 많은 날에 적은 인원으로 다른 간호사들은 바쁘게 업무를 수행 했지만 각자 맡은 업무를 제시간안에 못하게 되며 퇴원...2024.10.18
-
간경화 성인간호케이스 진단2개2024.10.181. 간 경변증(Liver Cirrhosis) 1.1. 간의 기능 및 구조 간은 신체에서 오른쪽, 위쪽 복강 내에 위치하고 있는 커다란 장기로서 성인에서는 그 무게가 약 1.5Kg이다. 정상적인 간은 육안적으로 붉은 색조를 띠고 있으며 표면은 매끈하다. 그러나 술을 많이 마셔서 간에 기름기가 쌓이게 되면 간의 크기가 커지며 기름기에 의해 노란 색조를 띠게 된다. 반대로,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간의 크기가 줄어들고 표면은 울퉁불퉁하게 변한다. 간은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2024.10.18
-
간암 케이스2024.10.111. 간의 기본구조와 기능 1.1. 간 구조 간은 횡격막 아래 RUQ에 위치한 인체에서 가장 큰 소화기관의 장기로서, 체중의 2.5%를 차지한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구분되며 뒷면에는 H모양의 작은 두 엽인 꼬리엽과 네모엽이 있다. 우엽이 좌엽보다 5배 정도 부피가 크며 사이에는 간동맥, 문맥, 쓸개관, 림프관 등이 있다. 융기된 윗 부분은 우측 횡격막 아래 붙어있고 다른 장기와는 다르게 간동맥과 문맥으로부터 이중으로 혈액의 공급을 받는다. 간의 기능 단위는 간세포로 이루어진 간소엽이다. 간세포의 한 면은 간의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