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인하대 토질역학2024.09.221. 흙의 비중 시험 1.1. 흙의 비중의 정의 및 중요성 흙의 비중(Specific gravity, Gs)은 흙 고체 입자의 단위중량에 대한 물의 단위중량의 비로 정의된다. 즉, Gs = Ws / (Vs * γw)로 나타낼 수 있으며, Ws는 흙 입자의 무게, Vs는 흙 입자의 부피, γw는 물의 단위중량을 의미한다. 흙 입자의 비중은 크기와 구성광물이 다양한 흙 입자들의 평균 비중을 말하며, 지반의 구조골격을 이룬다. 이러한 비중은 흙의 기본적인 성질인 간극비와 포화도를 결정하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흙의 구성광물이나 견...2024.09.22
-
기초공학 연습문제2024.09.141. 직경 3.0m 원형 면적 하중 및 응력 증가량 직경 3.0m의 원형 면적에 15t/m2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하중이 작용되는 면적의 중앙 하부 2.3m 깊이에서의 응력 증가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등분포하중 15t/m2가 작용하는 직경 3.0m의 원형 면적에서, 중앙 하부 2.3m 깊이의 응력 증가량은 등분포하중 아래의 연성 구형 면적에 대한 응력 증가량 계산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그림 5.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성 구형 면적 아래 임의의 위치에서의 응력 증가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응력 ...2024.09.14
-
압밀시험 보고서2024.10.051. 서론 1.1. 실험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연약지반 위에 도로, 제방 등의 구조물을 놓을 때에는 압밀로 인한 최종침하량과 그 침하가 어느 비율, 예를 들면 50% 또는 90%까지 일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추정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계산은 성토의 높이를 결정하거나 공기를 정하는 경우에 반드시 요구된다. 또한 흙의 압밀특성은 프리로딩 공법, 샌드드레인공법 또는 페이퍼 드레인 공법과 같은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설계에도 이용된다. 1.2. 압밀 이론 압밀 이론은 포화된 점토지반에 하중이 가해질 때 시간에 따라 발생하...2024.10.05
-
KSF23062024.09.281. 흙의 기본 물성 1.1. 흙의 구성상태 흙은 토립자, 물, 공기로 이루어진 삼상 물질이다. 토립자는 흙 지반을 구성하는 골격을 이루고 있으며, 입자의 크기와 구성 광물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갖는다. 물은 토립자 사이의 공극을 채우고 있으며, 공기는 토립자와 물 사이에 존재한다. 이들 세 요소의 상대적인 구성 비율에 따라 흙의 공학적 성질이 달라지게 된다. 흙을 구성하는 전체 부피는 토립자의 부피, 공극의 부피, 물의 부피, 공기의 부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체 무게는 토립자의 무게와 물의 무게로 구성된다. 이러한 흙의 구...2024.09.28
-
흙의 종류2024.11.161. 토질역학과 흙의 압축특성 1.1. 흙의 분류 1.1.1. 일반적 분류 일반적으로 흙은 조립토, 세립토, 유기질토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조립토는 사질토와 비점성토(자갈,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공극비와 압축성이 작고, 투수성과 마찰력, 전단강도, 지지력은 크다. 세립토는 점성토(실트, 점토)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공극비와 압축성이 크고, 투수성과 마찰력, 전단강도, 지지력은 작다. 유기질토는 압축성이 크고 비중이 작아 기초지반 재료로는 부적합하다. 이와 같이 흙은 조립토, 세립토, 유기질토의 일반적...2024.11.16
-
토질 함수비 실험2024.09.051. 서론 1.1. 흙의 정의 및 목적 흙이란 암석이 풍화작용을 받아 생성된 작은 입자들을 일컫는데, 그 크기의 범주는 자갈, 모래, 점토는 물론 암석의 퇴적물까지 포함한다. 흙이 다른, 여컨대 강철이나 콘크리트와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이것이 불연속체라는 사실이다. 즉, 흙 입자 그 자체는 고체이지만 강철과 같은 결정체와는 달리 이들이 강하게 부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흙 입자는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외력을 받았을 때에는 입자 속 흙 입자는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외력을 받았을 때에는 입자 상호간에 변위가 쉽게 일어난다...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