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언어레시피로광고요리하기2024.09.111. 언어유희와 은유를 활용한 광고 기법 1.1. 언어유희 1.1.1. 언어유희의 정의 언어유희는 "사용되는 언어의 구조에 내재된 특정 특징들이 공동체적으로 중요한 방식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텍스트 현상을 나타내는 일반적 이름"이다. 즉, 다소 다른 의미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최소 두 개의 언어가 구조적으로 대립되며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언어유희는 동음이의어나 각운 등을 이용하여 재미있게 꾸미는 말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1.1.2. 언어유희의 종류 언어유희의 종류에는 동음이의어, 다의어, 두운, 각운 등이 있다"...2024.09.11
-
언어레시피로2024.09.301. 광고에서 사용된 언어적 기법 1.1. 대화의 격률과 함축 1.1.1. 대화의 격률의 정의 대화에서는 협동의 원칙이 필요하다. 이것은 대화 하고 있을 때 자신이 관여하고 있는 대화의 방향이나 목적을 인지하고 그것에 맞게 대화에 대한 기여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고있는 대화의 방향이나 목적에 맞게 대화하기 위해서는 네가지 대화의 격률을 지켜야 한다. 첫 번째 격률은 질의 격률이다. 대화 중 거짓말을 하거나 불충분한 증거인데도 불구하고 말을 하게 된다면 이것은 대화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질 있는 대화를 하려면...2024.09.30
-
언어레시피 과제2024.10.261. 광고에 사용된 언어적 기법 분석 1.1. 대화의 격률 1.1.1. 관련성의 격률 관련성의 격률은 대화의 격률 중 하나로, 우리는 대화하고 있는 사람들이 협조적이고 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즉, 대화 중 주제와 관련성이 있는 얘기만 하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화가 어땠는지 물어봤는데 대답이 드라마에 관련됐다면 이는 관련성의 격률을 위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격률은 대화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주제의 관련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1.2. 양의 격률 양...2024.10.26
-
언어레시피2024.10.261. 광고에 사용된 언어적 기법 분석 1.1. 전제 전제는 광고 메시지의 기본적인 인식 틀을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특정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적 기법이다. 이는 광고에서 특정 상황이나 사실을 미리 가정하거나 전제함으로써 광고 메시지를 쉽게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삼성카드 광고에서는 유혜진이 계산을 했다는 것과 다른 카드들은 40대 남자를 사랑한다는 사실을 전제하고 있다. 또한 버거킹 광고에서는 기존 제품들보다 신제품이 더 강렬하고 특별할 것이라는 점을, LG V50 광고에서는 이전 휴대폰으로는 5...2024.10.26
-
언어레시피2024.10.261. 광고 언어 기법 분석 1.1. 전제 기법 1.1.1. 삼성카드 광고 삼성카드 광고에서는 전제 기법이 사용되었다. 먼저 광고에서 유혜진이 인공지능 카드에게 "근데 내가 계산했어?"라고 묻자, 카드가 "전 말렸어요"라고 대답함으로써 유혜진이 계산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이는 전날 술을 마신 유혜진이 누가 계산했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대화이다. 또한 유혜진이 카드에게 "그냥 40대 남자를 사랑하는거 아냐? 다른카드들처럼..."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다른 카드들이 40대 남자를 사랑한다는 사실이 전제되어 있...2024.10.26
-
언어레시피로2024.10.261. 광고 언어 기법 분석 1.1. 은유적 표현 1.1.1. 모닝케어 동아제약은 브랜드 리뉴얼을 통해 깨질 듯한 숙취, 더부룩한 숙취, 푸석푸석한 숙취 등 숙취의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콘셉트의 모닝케어 제품 3종을 새롭게 선보였다. 광고에서는 "당신의 숙취는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데, 이는 숙취해소제들이 전부 비슷하다는 일반적인 인식에 반박하며 숙취 증상별로 적합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광고 이미지에서는 총에 장착되는 총알을 활용하여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각기 다른 제품명이 적힌 총알들은 숙취를 ...2024.10.26
-
언어레시피로광고요리하기 과제2024.10.311. 언어유희를 활용한 광고 1.1. 언어유희의 정의와 종류 언어유희란 동음이의어, 다의어, 두운, 각운 등의 방법들을 통하여 다른 의미를 표현하거나 해학이나 풍자 등으로 사용되며, 말을 재미있게 표현하는 말장난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유희에는 크게 6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 동음이의어(Homonymy)는 문자와 소리가 같지만, 의미상으로는 관련이 없는 단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잘난체다"에서 "체"는 서울우유의 체다치즈를 의미한다. 둘째, 이형 동음이어의(Homophone)는 소리는 같지만 문자가 다른 단...2024.10.31
-
조선대학교 언어레시피2024.10.221. 광고 속 언어적 기법 1.1. 대화의 격률 1.1.1. 질의 격률 질의 격률은 거짓이라고 생각되는 말, 증거가 불충분한 말은 피하고 증거가 충분한 진실된 정보만을 제공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광고에서는 질의 격률을 의도적으로 위반하여 소비자의 주목을 끌거나 광고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그린피스의 "Do you know what you eat?" 광고에서는 자연과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전갈이라는 위험한 동물에 비유하며, "당신이 무엇을 먹고 있는지 아십니까"라는 의문문 카피를 사용함으로써 ...2024.10.22
-
언어레시피2024.10.151. 광고에 사용된 언어적 기법 분석 1.1. 전제 전제(presupposition)는 광고에서 자주 사용되는 언어적 기법 중 하나이다. 전제란 발화된 문장이나 표현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전제되어야 하는 배경 정보를 말한다. 광고에서 전제를 사용하면 광고 메시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광고주는 소비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나 상황을 전제로 하여 새로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설득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광고 내용이 자연스럽게 이해되도록 하여 소비자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 제공된 문서에서는 다음과 같...2024.10.15
-
언어레시피2024.10.111. 광고에서 사용된 언어적 기법 분석 1.1. 전제를 활용한 기법 전제를 활용한 광고 기법은 광고에서 특정한 사실이나 상황을 전제로 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는 소비자들의 기존 인식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삼성카드 광고에서는 유혜진이 전날 술을 마시고 누가 계산했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상황을 전제로, 자신의 인공지능 카드가 "전 말렸어요"라고 대답함으로써 유혜진이 계산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카드가 유혜진을 도와주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유혜진이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