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경상대2024.09.131. 삼국시대와 가야의 등장 및 형성 1.1. 삼국의 건국 신화 삼국의 건국 신화는 각 나라가 어떻게 세워졌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이 때 삼국의 건국의 신화가 공통적으로 시조가 하늘에서 온 알에서 나오는데 이는 왕이 곧 하늘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시조를 나타낸 이유는 알에서 나온 건국신화를 통해 시조와 그의 자손들은 하늘의 자손이며 그들이 나라를 다스리는 이유가 충분하며 자격이 있음을 보이고자 시조를 신성시하게 꾸몄다. 고구려 건국 신화가 가장 오래 전에 기록되어(광개토대왕비) 전해 내려왔다. 백제와 신라의 건국신화는 삼국...2024.09.13
-
금관가야2024.09.141. 머리말 김부식은 『삼국사기』표문에서 「고려시대 지식인들이 중국 진·한 역대의 역사는 자세하게 알면서 삼국의 역사는 잘 모른다는 것은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라고 적고 있다. 하지만 김부식은 우리의 고대에 삼국만이 존재함이 아니라는 것을 간과한 듯하다. 흔히 알고 있듯이 고대 국가로서의 삼국이 성립한 시기는 대략 3세기 이후일 것이다. 이러한 3세기 이후의 역사 속에서『삼국사기』에 등장하는 고구려·백제·신라만이 아니라 그들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한 또 하나의 왕국 가야를 간과하고만 것이다. 가야는 다른 삼국과는 달리 통일된 국가를...2024.09.14
-
한국사 요약정리2024.11.111. 선사 문화와 고대 국가의 형성 1.1.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구석기 시대는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되어 인류가 뗀석기를 사용하며 생활했던 시기이다. 구석기 시대에는 주먹도끼, 찍개 등의 다양한 뗀석기와 뼈나 뿔로 만든 도구를 사용했다. 사람들은 무리를 지어 이동하며 열매 채집, 짐승 사냥 등을 통해 생활했으며,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 임시로 막집을 지어 살았다. 충청남도 공주의 석장리, 충북 단양의 금굴 등에서 구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이 시기에 농경과 목축...2024.11.11
-
가야 유물 유적 연구 및 분석2024.11.091. 가야의 역사와 문화 1.1. 가야의 개요 가야는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대표적인 고대 왕국 중 하나이다. 가야는 B.C. 3세기경부터 A.D. 6세기 중엽까지 약 900년간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야는 당시 한반도 남부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가야는 여러 개의 소국들이 연합한 연맹체 형태의 국가로, 주요 소국으로는 김해의 금관가야, 고령의 대가야, 함안의 아라가야, 고성의 소가야 등이 있었다. 이들 소국들은 서로 경쟁하면서도 연합하여 가야라는 문화권을 형성했다. 가야의 문화적 성...2024.11.09
-
한국사 속 대외관계와 관련한 역사 인물, 역사 사건, 문화2024.10.181. 삼국시대 서울의 역사 1.1. 삼국시대 서울의 역사인물 1.1.1.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은 374년부터 412년까지 삼한국 중 하나인 고구려를 다스린 왕이다. 그는 고구려를 국제무대에 알리기 위해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펼쳤으며, 군사적으로도 주변 국가들과 전쟁을 벌여 영토를 확장하는 데 성공하였다. 광개토대왕은 고구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 중 한 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다양한 문화적 업적을 남겼는데, 대표적으로 요령문답산에 위치한 "광개토왕릉"을 건립하였다. 이 왕릉은 2004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2024.10.18
-
가야문화와 토기 및 김수로왕 탐방기2024.10.141. 가야 문화의 특징 1.1. 가야의 역사 가야는 서기 300년 무렵에 변한을 기반으로 하여 성립한 여러 세력집단으로, 가야, 가라, 가락, 임나 등으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가야의 영역은 일정하지는 않으나 대체로 동으로는 황산강(낙동강 하류), 서남으로는 남해안, 서북으로는 지리산, 동북으로는 가야산의 남쪽을 경계로 하였다. "가야"라는 이름은 변한 때에 김해지역을 가리키던 구야국에서 유래하여 이 지역의 모든 세력을 일컫는 의미로 확대되었다. 가야는 때에 따라 5가야, 6가야, 7가야국, 포상(浦上)8국, 임나(任那)10국 ...2024.10.14
-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2024.11.111. 임나일본부설이란 무엇인가 1.1. 임나일본부설의 정의 '임나일본부설'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 존재했던 가야 연맹국을 일본이 4세기 중반부터 군사력을 동원하여 정복하고, '일본부'라는 통치기관을 설치하여 6세기 중반까지 지배했다는 역사학설이다. 이 학설은 일본인 학자 스에마쓰 야스카즈가 주장했으며, '남선경영론', '임나지왜재래' 등으로도 불린다." 1.2. 임나일본부설의 배경 임나일본부설의 배경은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학계에서 임나일본부설이 주장된 이유는 일본인들의 식민주의 사관에 기반한 것이다. 일본은 한반도 침...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