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김의숙2024.09.121. 서론 서울대 '국제이주와 포용사회센터' 문현아 박사 인터뷰에 따르면 주돌봄자는 딸(35.0%)과 며느리(36.7%)가 70% 이상이었고, 다음으로는 배우자(15.6%), 아들(11.0%)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주돌봄자의 85%가 여성이었다. 장남·친자식보다도 '여성'이라는 점이 주돌봄자가 되는 데 주요하게 작동했다. 또한 가족 내 노인을 전담해 돌보는 사람의 다수(77.8%)가 50대 이상이었다. 본인도 돌봄을 필요로 할 나이가 되었지만, 자기 자신을 돌볼 작은 여유도 가지지 못한 채 가족을 돌보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들은 일...2024.09.12
-
이상한 정상가족2024.10.131. 가족, 정상과 비정상 1.1.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와 가부장적 가족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 사회는 '결혼한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형태만을 정상 가족으로 인정하는 이데올로기를 구축하였다. 이는 가족에 대한 사회적 규범으로 작동하며, 이혼, 재혼, 한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 등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가족들을 '비정상' 가족으로 규정하고 배제해왔다. 이러한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의 핵심에는 가부장적 가족 구조가 자리잡고 있다. 부계 혈통과 남성 가장 중심의 가치관에 기반한 이 가족 구조는 여성과 아동의 종속적 지위를 전...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