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코메디아 델라르테2024.09.211.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개요 1.1.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정의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는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이탈리아에서 유행한 즉흥 가면극이다. 코메디아 델라르테는 현대 코미디의 기원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명칭은 글자 그대로는 아르테(기술)를 가진 사람들이 연기하는 코메디아(희극)라는 뜻이다. 코메디아 델라르테는 고대 희극의 형식과 내용을 본 딴 희극으로 1520년경부터 이태리에서 발생했다. 오늘날에도 코메디아델라르테는 하나의 연극형태로 남아있다. 공연의 구성원은 10명 정도이며, 대본...2024.09.21
-
나례, 성황제2024.10.041. 가면극의 세계 1.1. 가면극의 계통과 분포 한국의 가면극은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과 마을굿 계통 가면극으로 나눌 수 있다.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은 조선 후기 서울 근교에서 성균관 노비인 반인들에 의해 공연되었고, 지방순회공연을 통해 각 지방의 가면극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특히 상업도시 중 지방관아가 자리잡은 곳에서는 상인들이 가면극의 후원자 역할을 했다.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은 1)벽사의 의식무, 2)양반과장, 3)노장과장, 4)할미과장 등의 공통적인 구성 단위를 갖고 있다. 마을굿 계통 가면극은 마을의 안녕과 풍농...2024.10.04
-
르네상스와 엘리자베스 시대의 연기-도시와 극장. 셰익스피어 연극, 음악성 추구, 무대 동작2024.10.131. 연극의 역사 1.1. 그리스 시대의 연극 1.1.1. 배경 그리스 시대의 연극은 기원전 5세기부터 디오니소스에게 바쳐지는 종교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디오니소스 축제는 1년에 4번 약 일주일간 포도의 수확을 기념하여 개최되었고 장엄한 신화적 주제로 봄에 열린 제전은 비극으로, 익살스런 토속적 이야기를 주제로 겨울에 연 제전은 희극으로 발전되었다. 그리스의 연극은 합창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1만 8천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리스의 극장에서 합창은 관객들을 동원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리스의 연극에는 코러스...2024.10.13
-
마음을 읽어주는 미술치료2024.10.141. 페르소나와 자아 1.1. 가면과 실제 자아의 갈등 가면과 실제 자아의 갈등은 융(Jung)이 설명한 '페르소나'의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페르소나는 "가면"을 의미하는 희랍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개인이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여 가지게 되는 공적인 얼굴을 뜻한다. 즉, 개인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가면을 쓰게 되는데, 회사에서는 부하나 상사의 가면을, 가족 내에서는 딸이나 배우자의 가면을 쓰는 식이다. 문제는 이렇게 만들어진 가면이 실제 자아와 너무나 차이가 크게 될 때 발생한다. 어떤 날은 자신의 가면이 너무 커서 불...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