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요고와 장고의 역사2024.10.041. 요고와 장고 1.1. 요고의 의미와 역사 1.1.1. 고구려의 요고 고구려의 요고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와 신라의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기 등의 유물에서 요고를 묘사한 그림이나 부조를 찾을 수 있다. 요고는 세요고(細腰鼓)라고도 불리며, 크기가 매우 작은 편이었다.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었고,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나라 및 당나라의 기록에서 고구려 요고와 관련한 언급이 있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의 노래 "...2024.10.04
-
남사당놀이 6마당특징을 설명하세요2024.10.031. 민속극과 가면극 1.1. 민속극의 범위와 특징 민속극의 범위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민속극은 민간전승의 연극으로 가장한 배우가 집약적인 행위로 된 사건을 대화와 몸짓으로 표현하는 다른 무엇에도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공연될 수 있는 예술이다. 이 세 가지 특징과 합치되는 민간 전승은 민속극에 해당하지만, 민간전승이라 하더라도 연극이 아닌 것은 민속극에서 제외된다. 이 세 가지 특징을 완전히 갖추고 있는 것이 가면극과 인형극이다. 민속극은 우리 대로의 전통을 가진 민중적 미의식의 산물이며, 서구 근대극의 원리로 수입된 신...2024.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