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공동신청주의와 그예외2024.09.261. 등기의 의의 1.1. 부동산등기법상 의미 부동산등기법상 의미는 등기관이 법정절차에 따라서 부동산에 관한 일정한 권리관계를 전산정보처리조직을 이용하여 등기부에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등기는 신청이 있었더라도 실제로 등기부에 기록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또한 등기부의 기록 자체를 말한다. 등기필정보(부동산등기법 제2조 제4호)란 등기관이 작성한 정보를 말하고 등기를 하면 등기필정보를 주고 이것을 등기라고도 한다. 1.2. 등기관과 등기부 등기부는 부동산에 관한 권리관계와 부동산의 표시에 관한 사항을 적는 공적기록...2024.09.26
-
물권의 의의와 특성2024.11.111. 물권법의 주요개념 1.1. 물권과 채권의 차이 물권은 타인의 행위를 거칠 필요 없이 물건을 직접 지배하는 권리인 반면, 채권은 특정인에 대하여만 급부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따라서 채권에는 배타성이 없지만 물권에는 배타성이 존재한다. 물권은 그 사용·수익을 보장하기 위하여 물권적 청구권이 인정되지만, 채권은 배타성이 없으므로 모든 사람에게 권리보호를 주장할 수 있는 물권적 청구권을 인정할 수 없다. 또한 물권은 내용이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물권간에 병존할 수 없지만 채권은 동시에 수개의 같은 채권이 병존할 수 있다. 물...2024.11.11
-
부동산취득의종류2024.11.301. 부동산 등기 1.1. 부동산 등기의 개념 부동산 등기는 부동산과 관련하여 맺은 법적 관계의 성립 및 해소 등을 문서에 작성하여 이를 등기소에 공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등기는 대한민국에서 사법부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변호사와 법무사가 등기를 대행 및 대리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다. 등기는 법률적인 관계를 널리 사회에 알리는 효과를 가진 문서로, 등기소에 있는 공적인 문서에 작성되어 엄격히 관리된다. 등기의 영어단어인 'registration'은 직역하면 '등록'을 의미한다. 일종의 법적인 관계를 맺은 사실을 등기소에 ...2024.11.30
-
물권법, 사례2024.10.141. 물권법 사례연구 1.1. 소유권 상실과 물권적 청구권 소유권자가 소유권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에도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는 중요한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물권적 청구권은 물권에 의존하기 때문에 물권의 이전이나 소멸과 함께 물권적 청구권도 소멸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판례는 이에 대해 예외적인 해석을 내리고 있다. 먼저, 판례는 소유권을 상실한 자라도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양도인인 전소유자가 매매대금의 지급과 소유권 이전 등기 사이에 소유권을 상실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