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어 표기법의 변천
1.1. 고대 국어와 향찰
고대 국어의 문자 체계는 향찰이었다. 향찰은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 우리말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는 부분은 한자의 뜻을, 문법적인 요소는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하게 된다. 즉,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법 중의 하나이다. 향찰은 개념을 나타내는 부분은 한자의 본뜻을 살려서 표기하고, 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관계를 나타내는 부분과 단어의 어말음의 부분은 한자의 뜻을 버리고 표음문자로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이는 이두나 구결의 표기구조...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