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자궁외임신2024.09.171. 서론 1.1. 문헌고찰 배경 현재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의 임신질환 11개 중 자궁 외 임신은 포함되지 않은 실정이다. 자궁 외 임신의 발생빈도는 임신 16~34명당 한 건 정도로 매우 희박하게 나타나지만 현재 국내외 모두에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게다가 이 질환은 임신 1삼분기에 발생하는 모성사망의 첫 번째 원인이며, 자궁 외 임신을 겪은 산모는 정상인에 비해서 다시 난관임신이 재발할 확률이 50~200배나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과적 치료인 MTX 복용은 한정된 적응증을 가지고 있어 현재 ...2024.09.17
-
자궁 외임신 수술2024.11.281. 서론 1.1. 자궁외임신의 정의 자궁외임신이란 수정란이 정상적인 위치인 자궁몸통의 내강에 착상되지 않고 다른 곳, 즉 난소에서 나온 난자를 자궁까지 운반하는 난관(가장 많이 발생), 난자를 생산하는 난소, 자궁을 지지하는 여러 인대, 복강,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경부 등에 착상되는 임신을 말한다."" 1.2. 자궁외임신의 원인과 위험요인 자궁외임신의 원인과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자궁외임신은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난관이 좁아졌거나 난관점막의 수정란에 대한 수용력이 증가되어 발생한다. 즉 수정란의 운반이 지연되어 자궁...2024.11.28
-
태아건강사정2024.09.061. 임신 중 태아건강사정 1.1. 초음파 검사 1.1.1. 초음파 검사 방법 1.1.1.1. 복부 초음파 복부 초음파는 임부의 복부에 탐촉자를 올려놓고 골반구조를 관찰하는 방법이다. 질식 초음파에 비해 해상도는 떨어지지만 넓은 시야로 골반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주로 임신 중반기 이후 태아의 신체계측, 구조적 기형 확인을 위해 사용된다. 초음파는 가스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임부는 방광을 채워야 한다. 검사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임부는 검사대에 반듯이 누워 늑골 부위에서 치골부위까지 복부를 노출한다. 그 후 복부에 윤활...202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