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조선 초기 명·여진과의 관계2025.11.111. 사대교린 외교정책 조선의 기본 외교정책은 사대교린으로 구성되었다. 중국에 대해서는 사대외교를 취하고 중국 이외의 국가에 대해서는 교린체제를 유지했다. 조선 초기의 사대외교는 민족보전을 위한 현실적 외교정책으로서 자주성과 모순되지 않았다.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중국은 유일한 강대국으로 주변국을 책봉체제에 편입시켜 중국적 세계질서를 형성했고, 주변국들은 조공을 통해 국가안보를 보장받고 필요한 물자를 획득할 수 있었다. 2. 조선과 명의 조공무역 조선과 명 사이의 무역은 조공관계의 틀을 벗어날 수 없었다. 조공은 중국 황제로부터 책봉...2025.11.11
-
응제시와 응제시주: 조선초기 명나라 외교 문화2025.11.111. 응제시 응제시는 임금의 명령을 받고 지은 시를 의미합니다. 조선 건국 후 1396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문신 양촌 권근이 명나라 황제의 명을 받아 응제시 24수를 지었습니다. 이 응제시들은 권근의 문집인 양촌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조선초기 명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2. 응제시주 응제시주는 권근의 손자인 권람이 권근의 응제시 24수와 명나라 홍무제가 지은 어제시 3수를 합친 27수의 시에 역사지리적 주석을 붙여 편찬한 저작입니다. 세조 때 편찬되었으며, 성종 시기에 서거정이 내용을 보완했습니다....2025.11.11